배너

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전국공통

남자양궁, ‘무결점 금메달’...98.9%의 의미는? ‘신궁’ 기보배 “굉장한 부담” 왜?

사격 반효진, ‘가슴 철렁’ 슛오프...0.1점 차이로 영광의 하계올림픽 100번째 금메달 등극!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기자 | ‘신궁’도 98.9%의 확률 앞에서 떨었다. ‘10대 사격 천재’는 슛오프 끝에 0.1점을 벌렸다. 결과는 두 종목 다 금메달이었다. 한국 남자양궁이 올림픽 3연패의 위업을 달성했고, 여고생 명사수 반효진이 사격 여자 10m 공기소총에서 영광의 한국 하계올림픽 100번째 금메달을 따냈다.

 

29일(이하 한국시각) 밤 남자양궁 대표팀(김우진 김제덕 이우석)의 올림픽 3연패 도전이 결승 상대인 개최국 프랑스를 상대로 이어졌다. 한국은 8강부터 결승까지 일본, 중국, 프랑스를 차례로 압도하며 ‘무결점 금메달’을 따냈다.

 

결과만 보면 당연해 보였지만, 이날도 기보배 KBS 양궁 해설위원은 떨면서 경기를 지켜봤다. KBS 양궁 중계는 이번 파리올림픽에서 타 중계에 없는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해, 선수별로 중요한 순간 ‘9점 이상 쏠 확률’, ‘8점 이상 쏠 확률’ 등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띄우고 있다. 이 ‘실시간 데이터’는 야구의 ‘타율’과도 비슷한 개념으로, 시청자들이 경기 매 순간에 더 몰입하고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날 3세트 마지막 순간, 남자양궁 대표팀 맏형 김우진이 부담감 속에 활을 잡았다. 중계화면에는 ‘8점 이상 쏠 확률 98.9%’가 떴고, 8점 이상만 쏘면 경기가 끝나는 상황이었다. 신중하게 활시위를 당긴 김우진은 10점을 명중시켜 금메달을 확정했다.

 

자기 일처럼 몰입했던 기보배 해설위원은 “마지막에 김우진이 굉장히 부담을 많이 가졌을 것 같다”며 “아무리 끝까지 잘 해낼 수 있는 선수지만...”이라고 98.9%의 확률이라 해도 양궁에 ‘당연한 것은 없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금메달을 목에 건 김우진은 “이 기운을 몰아서 개인전에서도 좋은 성적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앞서 이날 오후 열린 사격 여자 10m 공기소총 결승에서 반효진은 슛오프 접전 끝에 0.1점 차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결승 후반, 반효진은 9.7점 이상의 한 발만 쏘면 금메달을 확정하는 상황을 맞이했다. 이에 이대명 KBS 해설위원은 “반효진 선수한테는 10점이 쉽다”며 승부가 나길 기대했다. 그러나 결과는 9.6점으로 ‘금메달 슛오프’가 성사됐다.

 

중계석에선 탄식이 나왔지만, 차분한 무표정으로 슛오프에 임한 반효진은 10.4점을 쏘아 10.3점의 황위팅(중국)을 0.1점 차로 꺾고 금메달을 가져갔다. 이광용 캐스터와 이대명 해설위원은 “정말 가슴이 철렁했다”며 겨우 숨을 쉬었다. 이대명 위원은 “반효진 선수는 10점 후반을 계속 쏘다 보니 그보다 낮은 점수가 아쉬워 보일 지경이었다. 이게 말이 되나. 정말 잘했다”며 찬사를 보냈다.

 

당연한 것은 없는, 숨 막히는 한순간의 차이까지 생생하게 지켜볼 수 있는 KBS 파리올림픽은 ‘함께 투게더 앙상블’이라는 슬로건처럼, 나라를 대표해 '일당백'으로 뛸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의 경기를 특급 해설진과 함께 차별화되고 생동감 넘치는 중계로 선보이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국내 기업, AI 반도체 시장 진출 가속화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국내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고성능·저전력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 확보에 주력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어 향후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하여, 고용량·고속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 학습 및 추론에 필요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제품을 출시하며,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이러한 국내 기업들의 적극적인 행보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의 경쟁 심화를 예고한다. 미국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 기업들은 자체적인 기술력과 생산 인프라를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