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CGTN "중국,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활발하게 의료용품 준비"

(베이징 2022년 12월 28일 PRNewswire=모던뉴스) 12월 초, 중국은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완화한 후 확진자 수가 증가하고 의약품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코로나19의 예방과 관리에 필요한 의료 공급품을 확보하고자 노력했다.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ational Medical Products Administration)은 치료제, 검사 시약, 백신, 의료용 마스크 및 보호구 등 필요한 의료용품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수준의 의료 규제 당국에 다양한 개선책을 취할 것을 촉구했다. 여기에는 공장으로 검사 인력 파견하거나 품질 표본 검사를 강화하는 등의 내용도 포함됐다.

제약회사도 공급을 보장하고자 노력했다.

중국 동부 산둥성은 중국 최대의 해열진통제 원료 생산기지다. 산둥성의 수많은 기업이 수출 시장에 집중하고 있지만, 자국 내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신속하게 유통 채널을 조정하고, 생산 용량을 확대했다.

지방 정부 부처들도 주요 제품의 안정적인 산업 공급망을 보장하기 위해 기업에 원료 및 운송 접근성을 지원했다. 산둥성 공업신식화청(Department of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청장 Zhang Haibo는 China Media Group과의 인터뷰에서 "원료 및 조제용 물질을 최대한 생산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생산 기업, 의료 기관 및 상업 유통 간의 관계를 조정하고, 인민의 의약품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의약품 배송을 조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전국의 제약회사도 생산 용량을 확대하고, 시장 수요를 해소하기 위해 기술 변혁과 새로운 생산 라인을 설치하는 등 조처를 했다.

중국 남부 광둥성 Guangzhou Xiangxue Pharmaceutical Co., LTD. 제약 사업부(Pharmaceutical Business Department) 책임자(GM) Tan Guanghua는 "중국 특허 약품을 생산하고, 일일 생산용량을 약 50% 늘리기 위해 2개의 생산 라인을 새롭게 개설했다"고 말했다.

이달 14일에 열린 기자회견에서, 공업신식화부(Ministry of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산하 소비재산업부 차장 Zhou Jian는 "항원 검사 시약을 제조하기 위해 42개 제조업체 모두가 정부의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됐고, 충분한 시약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핵심 원료 조달과 저장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이어 "중국은 연간 생산 용량이 70억 도스에 달하고, 생산량이 55억 도스 이상인 세계 최대 규모의 코로나19 백신 생산 라인을 구축했다"면서 "중국은 현재의 전염병 예방 및 관리 수요를 해소할 수 있는 백신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중국은 N96 마스크 수요 증가에 따라 N95 마스크의 생산도 개선했다"고 덧붙였다.

병원과 의원이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 

중국은 코로나19 유증상 환자를 적시에 치료하기 위해 동부 장쑤성과 저장성, 중부 허난성, 그리고 남부 광둥성 내 여러 도시에 풀뿌리 차원의 임시 열 클리닉을 다수 마련했다.

간이진료소 의사가 환자를 진단하고 약을 처방하므로, 이는 의료 서비스가 시급하게 필요한 지역 주민에게 편리하게 다가간다.

중국 남서부 구이저우성에서는 일부 지역사회 클리닉이 약 처방과 배송을 지원하는 온라인 상담 서비스를 개설했다. 일부 의료기관은 고령자, 임산부 및 영아 같은 취약 계층을 위한 특별 치료 채널도 마련했다.

상하이는 증가하는 환자를 수용하기 위해 지역사회 보건 서비스센터, 분원 센터 및 마을 클리닉을 통해 지역사회 내 열 클리닉 환자 수용 역량을 확장했다.

중국은 병원을 1차, 2차 및 3차로 구분하는 3단계 시스템을 구축했다. 1차 및 2차 병원은 보통 특정 지역사회와 구 차원에서 환자를 수용한다. 상하이에서는 1차 및 2차 병원이 전체 치료 요청의 60%를 수용했다.

3차 병원은 병상 수가 가장 많고, 포괄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상하이의 여러 3차 병원이 ICU 역량을 확장하고, 비축 의약품 비축량을 늘렸다.

이달 24일 베이징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베이징시 대변인은 "베이징은 3차 병원이 치료에서 제 역할을 수행하고, 전문가팀을 최대한 활용하며, 코로나19 중증 환자에게 구체적인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이를 통해 완치율을 높이면서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https://news.cgtn.com/news/2022-12-25/Vitality-under-COVID-19-China-gears-up-for-medical-supplies-1g2XIXZjmGA/index.html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안산시, 창의융합 교육 확대·학교 환경 개선 위한 교육경비 지원

데일리연합 (SNSJTV) 송은하 기자 | 안산시가 교육경비 보조사업을 추가로 선정해 학생 맞춤형 학습 환경 조성과 학교 시설 개선에 박차를 가한다. 안산시는 ‘2025년 제3회 안산시교육발전위원회’에서 총 133개 사업, 32억 원 규모의 교육경비 보조사업을 추가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15일 열린 심의는 교육지원청 제안과 학교 현장의 요청을 반영해 시급성과 필요성이 높은 사업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특히, 다문화 밀집학교 학생들의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한 ‘다문화 밀집학교 디지털 수업도구 지원 사업’이 포함됐다. 해당 사업은 초·중·고 다문화 특별학급과 다문화 밀집학교 16개교를 대상으로 총 4억 8천만 원을 투입해 에듀테크 기반 학습 환경을 구축하는 내용이다. 디지털 교구와 학습 기자재를 지원해 다문화 학생의 학습 참여도를 높이고 원활한 학교 적응을 돕게 된다. 이 외에도 ▲강남인강 온라인 교육지원 시범 운영 ▲교육용 로봇 구입비 지원 ▲학교개방 협약학교 인센티브 지급 ▲교육청-지자체 협력(시설) 사업 ▲학교 환경시설 개선 사업 등이 함께 선정됐다. 시는 이번 교육경비 보조사업으로 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