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2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김정은 5년 전 암살 지시" 김정남 애원도 무시


 

 


[데일리연합 전호성기자] 김정남에 대한 김정은의 암살지시는 이미 5년 전에 내려졌던 것으로 국가정보원은 파악하고 있다.


변함없이 유지돼 온 암살지시가 이번에 실행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


이병호 국가정보원장이 직접 참석한 국회 정보위 간담회에서 국정원은,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한 2012년에 김정남 암살 지시가 내려졌다고 밝혔다.


최근 미사일 도발 등의 정세와 이번 암살 실행 시점을 연관짓기보다는 이미 내려져 지금까지 유효한 지시, 이른바 '스탠딩 오더'가 이번에 실행된 것이라는 설명이다.


첫 암살 시도가 이후였던 2012년 4월 김정남이 김정은에게 서신을 보내 자신과 가족의 안전 보장을 요청한 것도 알려졌다.


'응징' 명령을 취소해 달라, 갈 곳도 피할 곳도 없다, 도망갈 곳은 자살밖에 없음을 잘 알고 있다고 썼다고 했다.


그럼에도, 김정남이 이번에 암살된 것은 통치에 위협이 된다는 계산보다는 김정은의 편집광적 성격 탓이라는 데 무게가 실린다.


실제로 북한 내부의 김정남 옹립 시도나 김정남이 망명하려 했던 정황도 없었던 것으로 국정원은 확인했다.


국정원은 김정남의 존재 자체가 북한 주민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내부의 큰 동요는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김정남의 존재를 아는 엘리트들은 굉장히 충격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EU 공급망 실사 지침 강화에 따른 국내 기업 ESG 경영 비상등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유럽연합(EU)의 공급망 실사 지침 강화 움직임이 국내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비상등을 켰다. 기존 대기업 위주였던 규제 적용 범위가 중견기업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국내 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에 걸친 ESG 리스크 관리에 대한 압박을 느끼고 있다. 이는 단순히 법규 준수를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 및 평판에 직결되는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EU 이사회는 지난 10월,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협상안을 승인하며 공급망 내 인권 및 환경 실사 의무화를 더욱 구체화하고 있다. 이 지침은 기업이 자체 운영뿐 아니라 자회사 및 협력업체를 포함한 공급망 전반에서 인권 침해와 환경 파괴를 예방, 식별, 완화하며 보고하도록 의무화한다. 특히,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뿐만 아니라 고위험 산업군에 속하는 중소·중견기업까지 적용될 가능성이 제기되어 국내 기업들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국내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준비가 시급하다. 특히 중견기업의 경우 ESG 전담 조직이나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복잡한 EU의 실사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