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2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정부, 미국-중국 경제관계 재정립 '주목'

 


[데일리연합 전호성기자] 미국의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TPP 탈퇴와 북미 자유 무역 협정, 나프타 재협상에 이어서 우리에 대한 통상 압박도 시작될 거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대응방안과 함께 올해 대외경제정책의 방향을 발표했다.


정부가 미국과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로 했다.


미국 트럼프 신정부가 자국의 이익을 중시하는 경제 정책을 펴겠다고 했고, 한반도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중국의 통상보복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에서 두 나라만 믿고 있을 수는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올해, 멕시코, 일본과의 FTA를 최대한 빨리 추진하고, 성장잠재력이 큰 다른 국가와의 경제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한미FTA 재협상 등을 거론하며 한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일 것에 대비해서는 미국산 셰일가스와 자동차, 산업용기기 등의 수입을 늘려 대미 무역흑자를 줄일 방침이다.


교역 파트너로서의 입지도 다지는 동시에 미국이 한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가능성도 차단하기 위해서다.


중국과의 경제 관계도 재정립하기로 했다.


정치 문제가 경제 문제로 번지지 않도록 한중경제장관회의 등을 통해 엄중히 경고하고 필요하면 국제 공조를 통해 비관세 장벽에 공동 대응할 계획이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EU 공급망 실사 지침 강화에 따른 국내 기업 ESG 경영 비상등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유럽연합(EU)의 공급망 실사 지침 강화 움직임이 국내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비상등을 켰다. 기존 대기업 위주였던 규제 적용 범위가 중견기업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국내 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에 걸친 ESG 리스크 관리에 대한 압박을 느끼고 있다. 이는 단순히 법규 준수를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 및 평판에 직결되는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EU 이사회는 지난 10월,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협상안을 승인하며 공급망 내 인권 및 환경 실사 의무화를 더욱 구체화하고 있다. 이 지침은 기업이 자체 운영뿐 아니라 자회사 및 협력업체를 포함한 공급망 전반에서 인권 침해와 환경 파괴를 예방, 식별, 완화하며 보고하도록 의무화한다. 특히,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뿐만 아니라 고위험 산업군에 속하는 중소·중견기업까지 적용될 가능성이 제기되어 국내 기업들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국내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준비가 시급하다. 특히 중견기업의 경우 ESG 전담 조직이나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복잡한 EU의 실사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