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남은 명절 식재료, 치즈로 색다르게!

농촌진흥청, 비빔밥 랩·떡갈비 샌드위치 등 이색 요리법 소개



[데일리연합 전호성기자] 농촌진흥청은 추석을 앞두고 명절 남은 식재료에 치즈를 넣어 만드는 이색 요리법을 소개했다. 
우리에게 익숙한 치즈 가운데 하나인 모차렐라 치즈는 열을 가하면 녹아 늘어나는 성질이 있어 샐러드, 샌드위치 등 각종 요리에 곁들이면 풍미를 더할 수 있다.
 

 

 

치즈 비빔밥랩
 
돼지고기, 감자, 당근, 호박 등 명절음식을 만들고 남은 식재료를 이용해 ‘치즈 비빔밥 랩’을 만들어보자. 
기름 없이 구워낸 또띠아 위에 고추장, 물엿을 넣고 비빈 쌀밥과 곱게 채 썰어 볶은 감자, 당근, 애호박, 돼지고기를 가지런히 얹는다. 마지막으로 모차렐라 치즈를 얹은 뒤 돌돌 말아 먹기 좋게 썰어낸다.

 
치즈 등갈비 구이
 
간장양념에 조린 갈비 대신 고추장으로 매콤한 맛을 낸 ‘치즈등갈비구이’로 맛과 특별함을 더해보자.
살점이 두툼한 등갈비를 통째로 삶아 기름기를 빼고 고추장양념에 자작하게 조린 뒤 모차렐라 치즈를 듬뿍 얹어 오븐에서 구워내면 이국적이고 한국적인 맛이 조화를 이룬 등갈비구이를 맛볼 수 있다.
돼지등갈비는 기름지거나 질기지 않고 뜯어먹는 재미가 있어 온가족이 즐기기에 좋은 일품요리이다.

 
치즈 떡갈비쿠바샌드위치
 

남은 떡갈비를 샌드위치 속재료로 활용하면 겉은 바삭하고 속은 육즙으로 촉촉한 한국식 쿠바샌드위치로 즐길 수 있다. 
식빵에 머스터드를 바르고 구운 떡갈비, 모차렐라 치즈, 햄, 할라피뇨 순으로 올려 팬이나 파니니그릴에 버터를 두르고 치즈가 녹도록 굽는다.

 
치즈 차돌박이볶음밥
 

당근, 양파 등 각종 채소에 깍두기 국물을 넣어 만든 ‘치즈 차돌박이볶음밥’도 좋다. 
뜨겁게 달궈진 팬 위에 얇게 썬 차돌박이와 채소를 올려 굽고, 다진 깍두기와 밥을 넣고 재빠르게 볶으면 된다. 여기에 모차렐라 치즈를 하얗게 덮어내면 된다.

 
농촌진흥청 정석근 축산물이용과장은 “명절에 먹고 남은 음식들을 칼슘과 단백질이 풍부한 치즈 등을 활용해 조리법을 조금씩 바꾸면 색다르게 즐길 수 있다”라며,  “맛있는 이색 요리들로 가족들과 즐거운 명절을 보내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치즈는 보통 100g당 800mg의 칼슘을 함유하고 있다. 치즈의 칼슘과 인은 충치를 예방하고, 생리활성물질 펩타이드는 체내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건강 증진과 더불어 면역작용을 돕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EU 공급망 실사 지침 강화에 따른 국내 기업 ESG 경영 비상등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유럽연합(EU)의 공급망 실사 지침 강화 움직임이 국내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비상등을 켰다. 기존 대기업 위주였던 규제 적용 범위가 중견기업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국내 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에 걸친 ESG 리스크 관리에 대한 압박을 느끼고 있다. 이는 단순히 법규 준수를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 및 평판에 직결되는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EU 이사회는 지난 10월,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협상안을 승인하며 공급망 내 인권 및 환경 실사 의무화를 더욱 구체화하고 있다. 이 지침은 기업이 자체 운영뿐 아니라 자회사 및 협력업체를 포함한 공급망 전반에서 인권 침해와 환경 파괴를 예방, 식별, 완화하며 보고하도록 의무화한다. 특히,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뿐만 아니라 고위험 산업군에 속하는 중소·중견기업까지 적용될 가능성이 제기되어 국내 기업들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국내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준비가 시급하다. 특히 중견기업의 경우 ESG 전담 조직이나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복잡한 EU의 실사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