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CEVA 이미징·비전 DSP, LG전자 모바일 기기에 채택 - CEVA




휴대전화, 멀티미디어 및 커넥티비티 IP 플랫폼과 DSP 코어의 선두적인 라이선스 기업 CEVA는 LG전자가 자사의 모바일 기기 제품군에 CEVA 이미징·비전 DSP를 채택했다고 17일 발표했다.

CEVA 의 기드온 워타이저(Gideon Wertheizer) CEO는 "LG전자를 CEVA 이미징·비전 DSP 고객으로 맞이하게 되어 기쁘다"며 "LG전자는 시장에서의 리더쉽과 최첨단 모바일 혁신의 뛰어난 명성을 바탕으로 CEVA의 DSP역량을 십분 끌어내 모바일 기기에 다양한 기능 및 차별화된 비전 기술을 접목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CEVA의 이미징·비전 DSP는 비디오 분석(Video Analytics)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및 첨단 주행보조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과 같은 컴퓨터 비전 애플리케이션과 극도로 정교한 컴퓨터 활용 사진 기술(Computational Photography)이 요구되는 최고 수준의 프로세싱 기술을 다룬다.

고효율 DSP는 이러한 집약적 기능들을 CPU와 GPU에서 덜어냄으로써 완벽한 유연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반적인 시스템 전력소비를 큰 폭으로 감소시킨다. 플랫폼은 이런 애플리케이션들의 복잡한 특징들을 처리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벡터프로세서와 좀 더 수월한 개발 환경을 위한 확장형 애플리케이션 개발 킷(ADK, Application Development Kit)을 포함한다.

CEVA ADK는 안드로이드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AMK, Android Multimedia Framework)를 포함하고 있어 고급 소프트웨어 개발 툴 셋과 다양한 소프트웨어 제품, DSP에 최적화된 라이브러리 등 소프트웨어 개발과 통합에 필요한 수고를 덜어준다.

딥 러닝(Deep Learning)을 목표로 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경우, CEVA 심층 신경망(CDNN, CEVA Deep Neural Network)의 실시간 신경망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가 주요 GPU기반 시스템들의 소비전력 대비 극히 일부만 사용함으로써 머신 러닝 배치의 능률화를 구현한다. 더 자세한 설명은 홈페이지(www.ceva-dsp.com/CEVA-XM-Family)에서 확인 가능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경주시-경북도-포스코홀딩스, 'SMR 협력' 업무협약 체결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재욱 기자 | 경주시는 8월 1일 서울 포스코센터 회의실에서 경북도, 포스코홀딩스와 소형모듈원전(SMR) 1호기 경주 유치와 원전전력의 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이번 협약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정부의 소형모듈원전(SMR) 국내 실증 1호기의 경주 유치와 인근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상호 협력하고, 철강 탄소중립 기술인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원전전력 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3개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 소형모듈원전(SMR) 국내실증 1호기 경주 유치, △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투자, △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원전 전력의 공급방안 마련 등 향후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최근 경북도와 경주시는 대형원전에 비해 안전성이 대폭 강화되고 소형으로 산업계 수요가 높은 소형모듈원전(SMR)을 중심으로 원자력 산업활성화를 위해 노력 중이며, 첨단산업 집적을 위한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조성, 제작지원센터 구축 및 소형모듈원자로 연구기관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설립 등 산업육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소형모듈원전(SMR) 국내 실증 1호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