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동명대 오거돈 총장, 11일 전체 교수직원들과 인사회 개최 - 동명대학교

동명대 제8대 오거돈 총장이 11일 오전 10시 중앙도서관 대강당에서 전체 교수직원과의 인사회를 가졌다.

신임 오거돈 총장은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사업-잘가르치는대학(ACE)사업-지방대학특성화(CK-1)사업 등 국가사업 3관왕과 대학구조개혁평가 전국 32위, 부산울산 사립대 취업률 2년 연속 2위 등의 저력을 바탕으로 총장으로서 중단없는 전진을 통해 교육현장을 누비며 강소대학으로서의 경쟁력을 더욱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

오 총장은 또 “모든 구성원들과 한몸처럼 소통해 동명의 공동체를 밝고 건강하게 만들고 동명인의 자긍심을 높이며 프라임 사업 등 국책 사업 등도 차질 없이 챙길 것”이라며 “대학의 특성화도 기존 산학실용 IT 해양 등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소통을 강조한 오 총장은 다양한 인맥과 네트워크를 발휘해 어떤 애로사항과 난제든 가리지 않고 전방위로 지원해내는 ‘해결사’ 역할을 하겠다고 힘주어 말해 눈길을 끌었다.

신입생동기유발학기제, 해외보부상, 더블멘토링 등 전국적 차별화 시책을 최근 수년간 다양하게 지속해온 동명대는 2016년 1월 교육부의 2013년 8월과 2014년 2월 졸업자 대상 ‘대학별 건강보험 및 국세DB연계 취업률 통계조사’(대학알리미 www.academyinfo.go.kr 공시)에서 부산울산지역의 모든(가~라 그룹 포함) 사립대 중 가장 높은 취업률 72.9%를 기록했다.

다 그룹(연간 졸업생 1천명 이상~2천명 미만)에 속한 동명대는 재학생 1명에 기업CEO와 교수가 중첩적으로 진로 등을 밀착 멘토링해주는 ‘더블멘토링’, 후배 재학생에 졸업선배가 생생한 체험담 등으로 멘토링하는 ‘S-J(시니어-주니어)멘토링’, 모든 학과의 신입생 전원에 대해 3월 신학기 개강 전에 일찍부터 미래직장탐방 명사특강 등을 제공해 창의인성과 대학생활 적응도를 높이는 ‘신입생동기유발학기제’ 등 차별화시책을 꾸준히 시행하고 있다.

특히 재학생들이 대학으로부터 경비 일체를 지원받아 지역 기업의 제품을 들고 태국 등 해외 현지에 1주일 가량 뛰어들어 독자적으로 홍보 및 세일즈 활동을 하는 전국 유일의 ‘해외보부상 프로그램’도 취업률 제고에 큰 몫을 하고 있다.

동명대는 앞서 이미 교육부정보공시(2014.8.29.)취업률 67.4%로 전년도(66.6%)에 이어 2년연속 부산울산사립대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또 2015년에는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사업(3년간 120억) △지방대학특성화(CK)사업(5년간 245억, 동남권 사립대 최다금액 최다사업단) △잘가르치는대학(ACE)사업(4년간 92억) 등 교육부3대대형재정지원사업(트리플크라운)을 달성했다.

동명대학교 소개
차별화시책을 통한 전국적 취업명문 동명대는 최근 교육부정보공시(2014.8.29.)취업률 67.4%로 전년도(66.6%)에 이어 2년연속 부산울산사립대 1위를 기록했으며 2015년에는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사업(3년간 120억) △지방대학특성화(CK)사업(5년간 245억, 동남권 사립대 최다금액 최다사업단) △잘가르치는대학(ACE)사업(4년간 92억) 등 교육부3대대형재정지원사업(트리플크라운, 3관왕)을 달성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