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휴럼, 갱년기 여성 위한 '황후의 익모칡' 리뉴얼 출시 - 휴럼




건강전문브랜드 (주)휴럼은 갱년기 여성에게 적합한 원료만을 담은 '황후의 익모칡'의 성분을 업그레이드한 리뉴얼 버전을 출시했다. '황후의 익모칡'은 갱년기에 좋다고 알려진 칡, 칡꽃(갈화), 익모초 등 건강 소재를 연구하는 휴럼 중앙연구소의 원료 배합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이다. 약재의 쓴맛을 없애기 위해 '환'으로 개발해 부담 없이 먹을 수 있으며, 목 넘김이 좋은 2.3g 용량의 크기로 하나씩 개별 포장해 휴대성을 높이고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번에 새롭게 리뉴얼한 '황후의 익모칡'은 어머니에게 좋은, 즉 여자에게 이로운 약초라는 뜻의 익모초(益母草) 함량을 증가시킨 것이 특징이다. 1300년 전에 저술된 '신수본초'에도 수록될 만큼 오래된 약초인 익모초는 왕실에서는 왕비의 건강한 회임을 위해 자주 처방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예로부터 여성에게 좋다고 알려진 콩(대두)까지 추가하여 여성 건강 전문 브랜드의 이미지를 강화시켰다.

'황후의 익모칡'은 100% 지리산 야생 칡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예로부터 '흙 속의 진주'라 불리며 동의보감에 수록될 만큼 귀한 약재로 쓰여온 칡은 갱년기 여성들에게 효능이 좋아 주목받는 원료다. 칡에는 식물성 호르몬인 '다이드제인'이라는 성분이 함유돼 있으며 이는 갱년기 여성에게 이로운 성분으로 잘 알려졌다. 또한, 칡꽃(갈화)은 일 년에 한 번 피는 꽃이기도 해 동의보감뿐만 아니라 본초강목에도 귀한 약재로 수록돼 있다. 특히 최근에는 칡의 과학적 입증과 해석이 본격화됨에 따라 현재 식물성 호르몬의 보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귀한 약재로 손꼽히고 있다.

휴럼은 국내에 자생하는 천연 소재에 대해 끊임없는 연구를 한다. '황후의 익모칡' 역시 칡, 익모초, 칡꽃 모두 100% 국내산 원재료를 사용하여 휴럼 중앙연구소만의 자체 특별 기술로 배합했다. 여성에게 좋은 3가지 원료의 배합을 통해 갱년기 여성에게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내며 여성전용 프리미엄 상품으로 중년 여성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주)휴럼 관계자는 "여성 호르몬은 성장기와 사춘기를 거치면서 지속해서 상승하다가 35세를 기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하는데, 50대 초반부터는 폐경과 함께 70% 이상 떨어지면서 노화, 안면홍조, 불면증, 비만 등 심각한 갱년기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며, "갱년기 증상으로 고생하고 있는 중년 여성들에게 칡, 칡꽃(갈화), 익초모 원료는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100% 국내산 소재로 만들어 믿고 먹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