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KNPD, 하나의 서비스로 온라인 판매에 대한 고민 해결 - 에스이랜드


온라인 유통ㆍ판매에 곤란 겪는 중소제조업체들 위한 맞춤서비스

물가상승이 매우 빠른 시점인, 지금과 같은 경제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조금이라도, 싼 물건을 구입하려고 하고, 이에 맞물려 온라인 유통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중소제조업체들 역시 이러한 유통시장 판도 변화를 잘 알고 있으나, 전문인력의 부족과, 온라인 시장에서의 노하우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밖에 없어 시장 진출에 곤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최근 KNPD(www.knpd.net)의 온라인 판매대행 서비스가 유통에 관련된 초기 사업자나 중소기업들의 큰 힘이 되고 있다.

KNPD는 중소제조기업이 필요로 하는 판매 전반에 걸친 업무를 대행해주는 서비스를 오픈한 뒤 지금까지 200여 개 이상의 중소기업들의 온라인 판로 개척에 도움을 주었다. 특히 중소기업의 제품들을 발굴하고, 이를 신세계몰, H몰 등의 메이저몰이나, 11번가, G마켓 등의 오픈마켓, 또 위메프, 티몬 등의 소셜커머스에 입점시켜 판매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판매대행 사업을 주요 사업분야로 삼고 있다.

또한 판매대행 서비스는 단순히 판매채널 입점뿐 아니라, 홍보와 마케팅 대행까지 담당하며 제조업체들이 제품을 판매하는 데 있어 가장 핵심적으로 필요한 업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제품의 특성이나, 조직, 판매유통전략에 따라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서비스는 패키지화시키지 않고, 제휴업체에 따라 유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자금력이 넉넉하지 못한 제조업체들이 온라인 유통시장에 진입하고, 판매를 활성화시키는 최우선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CS 같은 적지 않은 인력과 비용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 전문분야에 대한 서비스도 합리적인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중소 제조업체들의 큰 각광을 받고 있다.

KNPD 송정임 이사(02-391-5000)는 "제품이나, 배송, 운영 등 영세한 유통업체에서의 온라인 유통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많은 중요한 요소들이 있지만 가장 어렵고도 중요한 성공의 요소는 온라인몰로의 입점이라고 생각한다. KNPD 서비스는 이러한 온라인몰로 진출하고자 하는 업체들의 충실한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