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보성군, 보성군수 관사 이순신 교육관으로 리모델링 개관 - 보성군청



이순신 유적 복원 사업과 연계 역사ㆍ교육ㆍ문화자원으로 활용


전 보성군수 관사가 이순신의 장인, 보성군수 방진의 이름을 딴 '방진관'으로 리모델링을 마치고 내달 11일 개관과 함께 지역주민과 관광객에게 개방될 예정이다.

군에서는 그동안 게스트하우스로 활용해 오던 보성군수 관사를 역사, 교육, 문화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순신 리더십 교육관인 '방진관'으로 새롭게 단장했다.

보성은 이순신 장군이 백의종군하며 조선 수군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군사와 군량미를 확보한 곳이며 '신에게는 아직도 12척의 배가 있습니다'라는 장계를 올린 곳이자 보성군수 방진의 외동딸이며 이순신 장군의 부인인 방 씨 부인이 어린 시절을 보낸 삶의 여정이 깃든 곳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방진관은 보성군이 역점으로 추진하고 있는 열선루, 보성읍성 등 이순신 유적 복원 사업과 연계하여 이순신 장군의 인간적인 면모를 엿보고 나라사랑의 마음을 되새기는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방진관은 보성읍 새싹길 81-10에 있으며 대지면적 1,031㎡, 건축 연면적 175.45㎡ 규모의 1층 한옥 건물로서 기존의 방 3개, 거실 등을 기념관ㆍ이순신실ㆍ방진실ㆍ방 씨 부인실 등 총 4개의 전시 공간으로 구성했다.

기념관에는 방진관 설립 목적과 충무공 연대기, 열선루 조감도 등을 전시하고 이순신실에는 덕수이씨 족보, 난중일기 중 이순신의 보성 방문 10일간의 행적을 나타낸 기록을 전시했으며 방진실은 온양방씨 족보 및 방진의 보성군수 재임 시기 등의 기록을 방 씨 부인실은 이충무공전서에 기록된 방 씨 부인 전 일화를 삽화 등으로 제작ㆍ전시하여 풍부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건물 외벽기둥에는 방 씨 부인의 여성상을 나타내는 주련을 전시했으며 담장 외벽에는 이순신 보성 12경길 그림타일을 부착하였으며 향후 화단정비가 완료되면 전통 놀이 공간과 야외 교육장 등도 조성할 계획이다.

방진관에서는 앞으로 이순신과 방 씨 부인의 휴머니즘, 이순신과 보성의 인연을 스토리텔링화한 충무공 학당을 운영함으로써 전국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방진관은 이순신과 부인 방 씨 등의 인간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는 휴머니즘적 교육 공간으로 영웅 이순신보다 인간 이순신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지역 역사 및 교육 문화자원으로 적극 활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