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코스피 012450, 대표이사 안병철) 가 3조 6,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을 전면 수정했다. 금융감독원의 정정 공시 요구와 시장의 우려를 반영해 증자 방식을 ‘주주배정+제3자 배정’ 혼합 방식으로 바꾸고, 전체 규모도 2조3000억 원으로 축소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남은 1조3000억 원은 특수관계자인 한화에너지를 통한 제3자 배정으로 조달할 예정이다. 한화그룹 계열사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증자 구조를 바꾸면서, 그간 제기돼 온 ‘승계 자금 전용’ 논란은 상당 부분 해소될 전망이다. 아울러 제3자 배정은 할인 없이 진행되며, 1년간의 보호예수 조건이 붙어 기존 주주의 지분 희석 우려를 최소화했다는 평가다. 유상증자 3.6조 원 유지.. "단, 2.3조 원, 개인주주 대상 유상증자" 회사 측은 당초 발표한 3조60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유상증자가 발표되자 투자자 사이에서 불거졌던 ▲㈜한화 참여 불확실성 ▲자금 사용 우선순위 ▲승계 연계 의혹 등에 대해 정면 돌파에 나섰다. 금융당국의 정정 요구에 따라 보다 구체적인 자금 조달 계획과 사용처를 명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증자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2024년 상반기에만 9건의 사고로 13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은 조선업계의 안전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22일 국회 소통관에서는 한화오션(042660, 대표이사 권혁웅) 하청노동자들의 51일 파업 타결 2주년을 맞아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김주영, 김태선, 박해철, 이용우, 정혜경 국회의원과 전국금속노동조합 경남지부,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하청노동자들이 파업을 통해 얻으려 했던 바와 현재의 상황을 되돌아보고, 한국 조선업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논의했다. 국회의원들의 모두발언과 금속노조 부위원장 허원, 대우조선지회 부지회장 김동영,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장 김형수의 발언이 이어졌다. 국회의원 김주영은 "이대로 살 순 없지 않습니까?"라는 하청노동자들의 외침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하며, 저임금과 차별로 고통받는 조선소 하청노동자의 현실을 고발했다. 그는 하청노동자들이 겪는 어려움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음을 강조하며, 조선소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 이어 발언한 김태선 의원은 조선업의 초호황에도 불구하고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최근 조선업이 초호황을 누리고 있는 있지만, 일부 하청노동자들은 임금체불로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이하 '하청지회')는 지난 6월 27일 성명을 발표하면서 “조선업 하청노동자 임금체불 문제를 해결하려면, 원청업체가 하청업체 기성금을 인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청지회에 따르면, 한화오션(042660, 대표이사 권혁웅)과 삼성중공업(010140, 대표이사 최성안)은 기성금을 인상하지 않고 다음 달 기성금을 미리 당겨 지급하는 방식을 취했다. 기성금은 원청 회사에서 공사 중간에 공사가 이루어진 만큼 하청업체에 계산해 주는 돈을 뜻한다. 하청지회 측은 "조선업의 초호황에도 불구하고, 하청노동자들은 임금체불로 고통받고 있다"며, "한화오션은 2024년 1분기 영업이익 529억 원으로 흑자 전환을 했고, 삼성중공업도 영업이익 779억 원을 기록했다. 이같은 호황 속에서도 하청노동자들이 임금체불을 겪는 이유는, 원청 조선소가 하청업체에 지나치게 낮은 기성금을 지급하고 있기 때문이다"고 주장했다. 특히, 문제는 삼성중공업의 하청업체인 창성기업이 지난 6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