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 김재욱 기자 | 달성군의회는 13일, 달성군의회 1층 회의실에서 '이동노동자 쉼터 설치 및 운영 방안'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최근 폭염으로 인한 온열 질환 사망자가 늘어나면서 야외·현장에서 활동하는 이동노동자들의 휴식권 보장에 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노동환경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이번 정책토론회는 양은숙 의원의 주관으로 진행됐다. 토론회는 전국이동노동쉼터네트워크 이성종 운영위원장과 달구벌 이동노동자 쉼터의 운영 현황을 취재 보도한 뉴스민 김보현 기자의 발제로 시작됐다. 이번 토론회에는 달성군의회 의회운영위원회 이연숙 부위원장, 전 대구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김성태 의원, 북구의회 복지보건위원회 김종련·채장식 의원, 수성구의회 도시환경보건위원회 정경은 부위원장·최명숙 의원, 관련 노동조합 대표자, 관계 공무원 및 이동노동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띤 토론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달성군의회 김은영 의장도 토론회에 참석하여 깊은 관심을 보였다. 발제자로 나선 이성종 운영위원장은 2016년 전국 최초로 개소한 휴서울이동노동자 서초 쉼터를 시작으로 전국 70여 개의 쉼터 현황을 소개하며 이동노동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위치 선정과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구미시는 지난 9일 고용노동부 주관 2023년 플랫폼종사자 일터개선 지원사업에 '구미시 이동노동자 간이 쉼터 조성 사업'이 공모에 선정됐다. 이번 공모사업은 고용노동부가 주관해 플랫폼 종사자의 노무제공 환경 개선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구미시 포함 15개 지자체가 선정됐으며, 경북도 내에서는 구미시가 선정됐다. 이 사업은 구미시 내 이동노동자(대리운전, 퀵서비스, 택배, 택시기사 등)들의 혹서기, 혹한기 휴식공간 마련을 위해 추진되며, 계절에 취약한 이동노동자들의 휴식권 보장 및 노동환경 개선을 목표로 간이형(컨테이너형) 쉼터를 2개소 조성할 예정이다. 조성될 쉼터에는 이동노동자들을 위한 각종 편의시설(컴퓨터, 정수기, 냉난방기 등)이 설치되며, 취약 노동자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AI무인시스템을 적용하여 24시간 운영할 계획이다. 이운균 노동복지과장은 "이동노동자의 노동권익향상을 위해 구미시에서 앞장서서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노동자 10만 도시의 위상에 맞게 다양한 노동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권오연 기자 | 배달·택배·대리운전 등 업무장소가 특정되지 않은 플랫폼 이동 노동자들을 위한 쉼터가 마련됐다. 전주시는 총사업비 4800만 원을 투입해 서부신시가지 비보이광장(효자동3가 1538-9)에 플랫폼 이동 노동자 쉼터를 설치했다고 28일 밝혔다. 플랫폼 이동 노동자 쉼터는 배달·택배 노동자와 대리운전, 프리랜서, 학습지 교사, 방문 설치기사 등 이동 노동자들이 잠시 쉬거나 대기할 수 있는 공간으로, 33㎡(약 10평) 규모에 의자, 테이블, 음수대, 냉·난방기, 휴대전화 충전시설, CCTV, 출입관리시스템 등을 갖췄다. 전주시 공공시설 운영중단 조치가 해제되는 대로 운영될 예정인 이 쉼터는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공공근로 인력이 배치돼 관리된다. 시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내년 3월부터 출입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사람에 한해 24시간(평일) 이용 가능토록 운영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지난 3월 신성장경제국 산하에 플랫폼 노동자 관련 전담부서인 플랫폼노동지원팀을 신설한 시는 지난달 플랫폼 노동자들에게 마스크와 장갑, 핫팩, 반사안전스티커 등을 제공하는 등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힘써왔다. 향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