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미국과 중국이 본격적인 관세 전쟁에 돌입하면서 글로벌 경제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은 10일부터 미국산 농축산물 711개 품목에 10~15%의 추가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보호무역 기조에 맞서 중국도 한발짝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이번 중국의 2차 보복 관세는 미국산 닭고기, 밀, 옥수수, 면화 등 29개 주요 품목에 15% 관세를 부과하고, 돼지고기, 소고기, 수산물 등 711개 품목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적용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4일 발표한 10% 관세 부과에 대한 맞대응 조치다. 특히 중국이 미국산 농축산물을 정조준한 것은 트럼프 행정부에 정치적 타격을 주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미국의 농축산업이 중국 수출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아, 타격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중국 역시 부동산 경기 침체와 경기 둔화로 인해 장기적인 관세 전쟁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처럼 미국과 중국이 끝없는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면서 한국 경제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22%,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베이징=신화통신) 시진핑(習近平)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국가주석,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5일 오후(현지시간) 본인이 속한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제3차 회의 장쑤(江蘇)대표단 심의에 참석했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14차 5개년(2021∼2025년)' 발전 목표를 원만히 이루기 위해선 경제 대성(省)인 장쑤성이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장쑤성이 중추적 역할의 주안점을 확실히 파악해 과학기술 혁신과 산업 혁신 융합 추진의 선봉에 서고 심층적 개혁과 높은 수준의 개방을 용감히 선도하며 국가 중대 발전 전략 실시에 앞장서 전체 인민의 공동 부유 촉진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월 21일(현지 시각)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내달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과 지식재산권 침해가 여전히 심각하다"며 "미국의 경제와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은 1월 22일 최고인민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는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틀 후에 열리는 것으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어떤 대미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통일부는 "이번 최고인민회의가 미국 신행정부 출범 직후 열리는 점에 주목하며, 김 위원장이 참석해 대외 전략을 구체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국제위기그룹(ICG)은 1월 1일 발표한 '2025년에 주목해야 할 10대 분쟁'에 한반도 문제를 포함시켰다. ICG는 "많은 것이 유동적인 상태에서 한반도는 긴장이 높은 2025년을 맞게 된다"고 평가하며, 김정은 위원장이 전면전에 나설 가능성은 낮지만 오판으로 도발을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추가 관세 검토와 북한의 대미 메시지가 맞물리면서 동북아 정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