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쎄콩데, 나이키 스윔과 함께 콜라보 패키지 31일 출시

쎄콩데 무설탕 저칼로리 라이트 잼 X 나이키 스윔 고성능 수영복, 메쉬 소재 백 추가 구성
정상가 대비 최대 30% 할인된 가격으로 31일부터 10일간 홈페이지 통해 한정 수량 판매

▲ 사진=쎄콩데 ‘라이트 잼 X 나이키 스윔 수영복 패키지’


프리미엄 푸드 기업 쎄콩데(대표 강두리)가 최근 나이키 스윔(NIKE SWIM)과 함께 콜라보레이션한 ‘라이트 잼 X수영복 패키지’를 출시한다고 31일 밝혔다.

 

쎄콩데는 프랑스어로 '이차적인, 보조적인' 의미로 메인음식과 곁들일 수 있는 서브푸드를 다양한 방식으로 즐기는 식문화를 제안하는 브랜드이다. 현재 콘포트와 유기농 잼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고, 파트너사로는 YOZM 그릭요거트, 오월의 종 등이 있다.  특히 10년 이상 대기업 F&B 연구소에서 디저트를 연구한 강두리 대표는 와인과 향신료 등을 첨가해 만드는 콩포트에 대해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조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나이키 스윔은 미국 1위 수영복 브랜드로 아주 네트웍스를 통해 아시아 최초로 국내 시장에 상륙했다. 나이키만의 독자적인 폴리소재 원단을 사용해 염소 저항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실내 수영복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최근 코로나19로 건강 관리 및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다가오는 여름을 맞아 쎄콩데는 나이키 스윔과 콜라보레이션하여 ‘라이트 잼 X 수영복 패키지’를 선보인다. 이는 쎄콩데의 무설탕 저칼로리 ‘라이트 잼’과 나이키 스윔의 고성능 수영복을 통해 더 건강하고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라이프 스타일을 지향하며 이뤄졌다. 추가적으로, 이후 수영장에 가거나 장 볼 때에도 재사용할 수 있는 메쉬 소재의 패키지 백을 함께 제공한다.

 

설탕 대신 천연 감미료를 사용하여 시중 제품 대비 칼로리를 1/10 수준으로 줄인 쎄콩데의 ‘라이트 잼’은 총 4종으로 한 병(200g 기준) 총 칼로리가 선라이즈 잼(애플 망고와 복숭아) 56kcal, 베리 트위스트 잼(라즈베리와 스트로베리) 48kcal, 하와이안 트로피컬 잼(파인애플과 애플 망고) 64kcal, 베리 브라이트 잼(블랙베리와 블루베리) 55kcal이다.
 

▲사진=나이키 스윔 수영복과 쎄콤테 라이트 잼 콜라보 패키지

 

‘라이트 잼 X 수영복 패키지’ 에는 총 5가지 컬러의 나이키 스윔 여성 수영복 ‘스카이 스트라이프 레이서백 자수 앤 로우컷’가 포함된다. 전 수영선수이자 현재 ‘LOVELY SWIMMER’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크리에이터 이현진은 이번 콜라보레이션 기획에 참여하며, “수영을 하고 나면 많이 허기지는데, 당과 칼로리 면에서 가벼운 쎄콩데 라이트 잼 덕분에 더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고 전했다.

 

강두리 대표는 “이번 나이키 스윔과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삶에 달콤함을 전하며, 더 많은 고객이 쎄콩데 제품을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방법으로 고객과 만날 수 있는 접점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쎄콩데와 나이키 스윔의 이번 콜라보레이션 ‘라이트 잼X수영복 패키지’는 31일부터 10일 동안 쎄콩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정상가 대비 최대 30%할인된 가격으로 한정 수량 판매된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동하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ESG 공시 의무 강화,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 시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공시 및 실사 의무가 강화되면서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전환점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국제적인 규제들이 고도화되면서, 국내 기업들은 수출 및 글로벌 공급망 유지를 위해 더욱 철저한 ESG 경영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최근 EU 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논의되는 CSDDD는 기업이 인권 및 환경 측면에서 자사의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식별하고 예방, 완화하도록 의무화한다. 이는 유럽 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유럽 시장에 진출하거나 유럽 기업과 거래하는 비EU 기업들에게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급망 내의 중소기업까지 ESG 리스크 관리를 확대해야 함을 의미한다. 과거의 자율적인 공시를 넘어, 이제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 강제적인 실사 의무가 도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규제 환경의 변화는 한국 기업들에게 이중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먼저, 복잡하고 다양한 해외 규제에 대한 이해와 준수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자체적인 ESG 성과 관리뿐만 아니라 협력사의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