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국내 대기업들이 급변하는 시장 환경과 강화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요구에 맞춰 기존 전략을 재검토하고 투자를 확대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주요 기업들은 이익 극대화뿐 아니라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ESG 경영을 단순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아닌, 장기적인 성장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매김시키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의 ESG 투자 선호도 증가와 소비자들의 지속가능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른 것이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투자는 괄목할 만하다.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투자를 확대하고, 친환경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는 단순히 규제 준수 차원을 넘어, 새로운 사업 기회 창출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ESG 경영 도입 과정에서 어려움도 존재한다. 단기적인 수익성 저하 우려와 ESG 관련 정보 공개에 대한 부담 등이 대표적이다.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ESG 정보 공개는 투자자 신뢰 확보에 필수적이지만, 정보의 양과 질 관리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업들도 있다.
전문가들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단기적인 수익성과 ESG 경영을 조화롭게 추구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단순한 체크리스트식 접근보다는, 기업의 사업 특성과 이해관계자들의 니즈를 고려한 맞춤형 ESG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 또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을 통해 ESG 경영 확산을 위한 생태계 조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향후 국내 대기업들의 ESG 경영은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투자자와 소비자들의 요구가 더욱 강해질 뿐 아니라, 국제적인 규제 강화와 기업 평가 기준 변화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높다. 기업들은 단순한 규제 준수를 넘어, ESG 경영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내는 전략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