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화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취약계층에게 폭염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폭염 대비 교육을 실시하여 자기 보호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민간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취약계층에게 맞춤형 폭염 대책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정부와 시민들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폭염으로부터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안전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속적인 폭염으로 인한 취약계층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폭염쉼터를 확대하는 것뿐 아니라, 접근성 향상, 시설 개선, 운영 관리 강화, 정보 제공 및 교육 강화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부의 폭염 대책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