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AI 기술 발전과 함께, AI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윤리적 가이드라인 수립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AI 시스템의 편향성, 프라이버시 침해, 일자리 감소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기술 개발과 동시에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의 등장은 이러한 논의에 불을 지폈다. 생성형 AI는 놀라운 창작 능력을 보여주지만, 허위 정보 생성, 저작권 침해, 악용 가능성 등의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이에 따라, AI 개발자와 관련 기업들은 AI 시스템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자체적인 윤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으나, 국제적인 표준과 규제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은 AI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거나 논의 중이다. EU는 AI Act를 통해 고위험 AI 시스템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도입하려 하고 있으며, 미국은 AI 개발의 책임 있는 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국가별 규제 수준과 접근 방식의 차이로 인해 국제적인 협력과 표준화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AI 개발의 윤리적 기준을 마련하고, 국제적인 표준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AI 기술의 발전은 막을 수 없으므로,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통해 AI 기술이 인류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닌, 사회 전반에 걸친 윤리적이고 법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향후 AI 기술 발전에 대한 전망은 밝지만, 동시에 그로 인한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을 고려한 책임 있는 개발과 활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AI 기술의 발전은 인류에게 큰 혜택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그와 동시에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을 경우 돌이킬 수 없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I 개발자, 기업, 정부는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을 통해 AI 기술의 안전하고 책임 있는 활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