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사회적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면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대책 미흡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지자체별 지원 체계의 차이로 인해 지원 사각지대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시민단체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지난 몇 주간 이어진 폭염으로 인해 노숙인,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의 온열 질환 발생 건수가 급증했다. 많은 지자체가 폭염 대비 긴급 대책을 발표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예산 부족, 인력 부족 등의 문제가 현장 지원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지자체 간 지원 체계의 차이가 문제로 지적된다. 일부 지자체는 폭염 대비 냉방 시설을 확충하고 무료 급식소를 운영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다른 일부 지자체는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소극적인 대응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지원 대상과 지원 수준에 있어 상당한 불균형이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놓인 취약계층은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들은 정부의 폭염 대책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단순한 예산 지원보다는 실질적인 현장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지자체 간 지원 격차를 해소하고 지원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폭염 피해 예방 및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지자체와의 협력 강화, 예산 확대, 현장 지원 인력 충원 등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보다 효율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폭염 사태를 계기로, 사회적 취약계층 보호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폭염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는 보다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취약계층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사회적 책임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