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충남

충청남도, 광복 80주년 계기 120년만에 고향땅으로

김태흠 지사, 태안이 낳은 독립투사 문양목 지사 유해봉환 귀향 환영식 참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권희 기자 | 충남도는 12일 태안군종합실내체육관에서 (사)우운문양목선생기념사업회 주관으로 ‘독립지사 우운 문양목 선생 유해 봉환 환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환영식은 김태흠 지사를 비롯해 가세로 태안군수, 이완섭 서산시장, 서승일 대전지방보훈청장, 태안군민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표창장 수여 △경과보고 △축사 △환영 공연 등 순으로 진행됐다.

 

1869년 6월 태안에서 태어난 문양목 지사는 일찍이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고, 1905년 2월 미국으로 건너가 평생을 독립운동에 바쳤다.

 

1906년 대동보국회를 결성해 독립운동가를 결집시켰고, 대동공보를 통한 언론활동으로 친일세력에 따끔한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1911년 2월에는 대한인국민회 총회장으로서 군인양성운동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으나, 조국의 독립을 직접 보지 못한 채 1940년 12월 사망했다.

 

1995년에는 이러한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3등급)의 서훈을 받았다.

 

이번 유해 봉환을 주도한 (사)우운문양목선생기념사업회는 2005년 6월 문양목 선생의 뜻을 기리고, 선생의 애국애족 정신과 민족정기를 선양하기 위해 결성됐다.

 

사업회는 2010년 12월 선생의 생가지를 충남 지방 문화재로 지정하는데 기여했으며, 2023년 11월부터 2024년 1월까지 봉환을 위한 ‘군민 성금 모음 운동’을 추진, 120년 만에 선생을 고향땅에 모시게 됐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민족의식 계몽과 군인 양성에 힘쓰시며 다방면에 걸친 활동을 통해 불꽃처럼 헌신하신 분의 유해를 고향 땅으로 다시 모실 수 있게 돼 영광”이라며 “도는 순국선열의 희생을 반드시 기억하고,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에 최고의 예우를 실천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많은 애국선열들께서 한마음 한뜻으로 강조하신 ‘자강불식(自强不息)’의 자세로 우리도 더 강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쉬지 않고 달려나가야 할 것”이라며 “문양목 지사께선 끝내 광복을 보지 못하고 눈감으셨지만, 고국 산하에서 후손들을 자랑스럽게 여기실 수 있도록 힘쎈충남이 대한민국 새로운 번영의 역사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안전, 함께하면 지켜집니다!’ 계룡시, 면·동 순회 시민소통간담회 시작

[20250813102017-7097]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권희 기자 | 계룡시는 12일 금암동주민센터 회의실에서 ‘시민안전 소통간담회’를 열고 지역의 안전 현안과 정책 방향을 시민, 시정, 유관기관이 함께 논의하며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간담회는 ‘안전, 함께하면 지켜집니다’를 주제로 오는 26일까지 금암동을 시작으로 신도안면, 엄사면, 두마면을 순회하며 총 4차례에 걸쳐 열린다. 계룡시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면·동 맞춤형 논의를 바탕으로 보다 안전한 계룡시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이날 금암동 간담회에는 계룡시청, 계룡지구대, 계룡소방서를 비롯한 안전 유관기관과 지역 이·통장, 주민자치위원, 새마을 지도자 등 주민 대표 50여 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폭염·호우 등 자연재난과 화재·범죄 같은 사회재난에 대한 대응뿐만 아니라, 생활 속 안전 사각지대 및 취약 요인에 대한 공유와 함께 예방․대응 방안 등의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계룡시의 주요 안전 정책 및 재난 대응 현황을 공유한 뒤 시민들의 자유토론 시간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