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임재현 기자 | 해양수산부는 2025년 2분기에 전국 무역항에서 전년 동기(3억 9,643만 톤)보다 2.2% 감소한 총 3억 8,776만 톤(수출입화물 3억 3,136만 톤, 연안화물 5,640만 톤)의 물량을 처리했다고 밝혔다.
2025년 2분기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3억 3,702만 톤) 대비 1.7% 감소한 3억 3,136만 톤으로 집계됐으며, 연안 물동량은 전년 동기(5,941만 톤) 대비 5.1% 감소한 5,640만 톤이었다.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 울산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4%, 2.9% 증가했고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은 각각 1.3%, 0.8%, 3.5% 감소했다.
2025년 2분기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기(811만 TEU) 대비 1.9% 증가한 826만 TEU로 집계됐다.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456만 TEU) 대비 0.6% 감소한 453만 TEU를 처리했다. 미국 수출 물동량 감소 등(미국 △8.4%) 영향으로 전체 수출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228만 TEU) 1.0% 감소한 226만 TEU를 기록했으며, 중국, 베트남 등 수입 물동량 감소(중국 △1.3%, 베트남 △4.3% 등)의 영향으로 수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228.1만 TEU) 0.2% 감소한 227.7만 TEU로 나타났다.
한편,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351만 TEU)에 비해 5.3% 증가한 370만 TEU를 기록했으며, 미국(8.2%), 중국(4.7%) 등의 환적 물동량 증가가 전체 물동량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주요 항만별 물동량을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기(624만 TEU)에 비해 3.1% 증가한 643만 TEU를 처리하여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동 분기 역대 최대 물동량을 달성했다. 부산항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282만 TEU)에 비해 0.4% 감소한 281만 TEU를 기록했고,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341만 TEU) 대비 5.9% 증가한 361만 TEU를 처리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8.3%)과 중국(6.0%) 등의 환적 물동량 증가가 전체 물동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인천항은 국내 수입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92만 TEU) 대비 4.3% 감소한 88만 TEU를 처리했다. 수출입 물동량은 일본(△6.5%)과 베트남(△0.9%) 등 물동량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91만 TEU) 대비 3.9% 감소한 87만 TEU를 기록했고,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1.3만 TEU) 대비 37.5% 감소한 0.8만 TEU를 처리했다.
광양항은 전년 동기(49만 TEU) 대비 6.3% 증가한 53만 TEU를 기록했다. 수출입 물동량은 미국(6.7%), 중국(10.9%) 등의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41만 TEU) 대비 10.5% 증가한 46만 TEU를 처리했다. 이는 광양항을 이용하는 주요 글로벌 선사의 원양(유럽, 미주·동북아) 서비스 유치 등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됐다. 한편,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7.9만 TEU) 대비 15.3% 감소한 6.7만 TEU를 처리한 것으로 확인됐다.
2025년 2분기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2억 4,707만 톤으로, 전년 동기(2억 5,532만 톤) 대비 3.2% 감소했다. 울산항, 인천항은 증가했고 광양항, 평택·당진항은 감소했다.
광양항은 석유정제품(1.4%)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유연탄(△7.2%), 원유(△4.6%) 등의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기(6,175만 톤) 대비 0.8% 감소한 6,124만 톤을 기록했다.
울산항은 석유정제품(△0.9%) 물동량은 감소했으나 원유(6.7%), 차량및그부품(1.6%) 물동량 등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4,780만 톤) 대비 3.4% 증가한 4,941만 톤을 기록했다.
평택·당진항은 차량및그부품(△1.2%), 유연탄(△15.2%), 광석(△4.6%) 물동량 등이 감소하면서 전년 동기(2,580만 톤) 대비 4.0% 감소한 2,476만 톤을 기록했다.
인천항은 원유(△14.4%), 석유정제품(△9.2%) 물동량은 감소했으나 유연탄(13.5%) 물동량 등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2,290만 톤) 대비 0.7% 증가한 2,306만 톤을 기록했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 자동차(부품포함)는 각각 1.3%, 3.0% 증가했고 광석, 유연탄은 각각 3.7%, 17.6% 감소했다.
유류는 원유·석유정제품·석유가스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기(1억 1,358만 톤) 대비 1.3% 증가한 1억 1,506만 톤을 기록했다.
광석은 광양항, 평택‧당진항, 동해‧묵호항 등의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기(3,134만 톤) 대비 3.7% 감소한 3,020만 톤을 기록했다.
자동차는 평택‧당진항은 감소했으나 울산항, 목포항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기(2,531만 톤) 대비 3.0% 증가한 2,608만 톤을 기록했다.
유연탄은 광양항, 포항항, 평택·당진항 등의 물동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기(2,587만 톤) 대비 17.6% 감소한 2,132만 톤을 기록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환적 물동량이 증가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세가 지속됐다.”라며, “민·관·연 합동의 해운물류분야 통상현안 비상대응반 운영을 통해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해상운임 등의 시장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관계기관과의 소통도 지속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