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대구

DGIST 좌훈승 교수팀, 'IEEE RTAS 2025' 최우수 논문상 수상

아시아 최초 수상, 실시간 시스템 분야 최고 학회에서 성과 인정, ROS 2 통신 지연 해결…로봇·자율주행 등 안전 시스템 적용 기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재욱 기자 |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좌훈승 교수 연구팀이 실시간 시스템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대회인 'IEEE RTAS(Real-Time and Embedded Technology and Applications Symposium) 2025'에서 아시아 최초로 최우수 논문상(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

 

IEEE RTAS는 미국전기전자학회(IEEE)가 주관하는 실시간 시스템 분야 세계 2대 학술대회 중 하나로, 자율주행차, 산업 로봇, 항공 제어 시스템 등과 같이 안전성이 필수적인 시스템의 신뢰성과 실시간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 발표되는 권위 있는 국제 학술 무대다.

 

이번 수상은 RTAS 학회 31년 역사상 아시아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 소속 연구자가 수상한 첫 사례로, 국내 실시간 시스템 분야의 기술력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올해 'RTAS 2025'에는 전 세계에서 총 109편의 논문이 제출됐으며, 이 중 단 한 편만이 최우수 논문상으로 선정됐다.

 

수상 논문인 'CROS-RT: Cross-Layer Priority Scheduling for Predictable Inter-Process Communication in ROS 2'는 로봇 운영체제 ROS 2에서 계층 간 실시간성을 저해하는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세계 최초의 기술을 제안했다.

 

ROS 2는 응용 계층, 미들웨어(DDS), 커널 계층 등 여러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계층 간 우선순위 정렬이 일치하지 않아 실시간 통신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정밀 분석하고, 우선순위 전파(priority propagation) 및 커널 스레드 제어(thread control) 기법을 함께 적용한 계층 간 우선순위 스케줄링 기술을 개발했다. 실험 결과, 해당 기술은 기존 ROS 2 대비 최악 지연시간을 최대 89.3%까지 단축하는 우수한 성능을 입증하며 학계의 높은 주목을 받았다.

 

좌훈승 교수는 "이번 수상은 국내에서 시작된 창의적인 연구가 글로벌 로보틱스 및 실시간 시스템 분야에서 실질적인 문제 해결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도 신뢰성과 안전성이 요구되는 지능형 시스템을 위한 핵심 기반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해당 논문은 DGIST 학부를 졸업하고 현재 석박사통합과정에 재학 중인 김소현 학생(제1저자), 송주호 학생(공동저자)과 고려대학교 오상은 교수, 숭실대학교 이길호 교수가 참여했다.

 

한편, 좌 교수는 지난 2012년에도 실시간 시스템 분야 또 다른 최고 권위의 국제학회인 IEEE RTSS(Real-Time Systems Symposium)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번 수상을 통해 좌 교수는 RTSS와 RTAS 양대 학회에서 모두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한 아시아 유일의 실시간 시스템 전문가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의령군의회, 대정부 건의안 채택

데일리연합 (SNSJTV) 장우혁 기자 | 의령군의회는 지난 17일 열린 제294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황성철 의원이 대표 발의한 ‘궁류 사건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제정 촉구 대정부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궁류 사건은 1982년 4월 26일 밤부터 27일 새벽까지 의령경찰서 궁류지서 소속 우범곤 순경이 무기고에서 탈취한 소총과 수류탄으로 90여 명의 사상자를 낸 대한민국 최악의 총기 난사 사건이다. 사건은 경찰의 인사관리 부실과 무기고 관리 소홀, 업무태만이 초래한 참사로 평가된다. 당시 정권의 보도 통제로 사건이 은폐되면서 피해자와 유가족들은 40여 년간 침묵 속에서 고통받아 왔다. 의령군은 국·도·군비 30억 원을 투입해 ‘의령 4·26 추모공원’을 조성하고 2024년 4월, 42년 만에 첫 합동 위령제를 거행했다. 올해 치러진 두 번째 위령제에서는 김성희 경남경찰청장이 현장을 찾아 사과했다. 하지만 추모공원 관리와 피해자 지원을 하기에는 열악한 지방 재정의 한계로, 군의회는 특별법 제정을 통한 지원 대책 수립을 정부에 촉구하고 있다. 김규찬 의령군의회 의장은 “국가는 특별법 제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