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북

경북문화관광공사, 찬란한 문화유산 '108번뇌'로 문화의 감동을 잇다

세계적인 미디어 아트의 거장 백남준의 대표작 '108번뇌', 매주 토요일 경주엑스포기념관에서 특별 상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재욱 기자 | 1998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세계 최초의 문화박람회로 개최된 '98경주세계문화엑스포'는 한국은 물론 전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수준 높은 예술작품과 미래지향적인 전시를 통해 감동을 선사한 이 박람회는 한국 문화의 국제적 위상을 높인 대표적인 문화행사로 평가받고 있다.

 

그 중심에는 세계적인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의 대표작 '108번뇌'가 있다. 108개의 모니터를 통해 동서양의 문화와 역사, 인간의 번뇌를 예술적으로 풀어낸 이 작품은 당시 엑스포의 상징적인 설치미술로, 지금까지도 걸작으로 회자되고 있다.

 

특히 '98경주세계문화엑스포'의 대표 전시관이었던 '새 천년의 미소관'은 최첨단 미디어 아트를 통해 대한민국의 미래와 새로운 밀레니엄의 비전을 담아냈으며, 백남준의 제자이자 세계적인 미디어 아티스트인 빌 비올라(Bill Viola) 등 국내외 대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주목을 받았다.

 

백남준 작가는 엑스포의 성공을 위해 과거 제작한 작품 4점(라이트형제, 존 케이지, 샤롯 무어맨, 초기 타이어 없는 자동차)과 함께 새로운 신작 '108번뇌'를 선보였다.

 

이 작품은 경북도와 엑스포조직위원회의 1억5천만 원의 제작비 지원으로 완성됐으며, 백남준이 직접 새롭게 제작한 특별한 의미의 작품이다.

 

'108번뇌'는 이후 2008년 스페인 아르코 아트페어(ARCO Art Fair)와 벨기에 브뤼셀 CFA 전시, 2024년 부산현대미술관 백남준 특별전 등 국내외 주요 전시에 출품되며 큰 주목을 받았다.

 

현재 '108번뇌'는 경주엑스포대공원 내 경주엑스포기념관에서 상설 전시 중이며, 매주 토요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만 특별 상영된다. 다만, 브라운관과 같은 구형 전자 부품으로 구성된 작품 특성상 내구성 보호를 위해 상영 시간이 제한되며, 우천 시에는 작품 보호를 위해 상영이 중단된다.

 

김남일 사장은 "98경주세계문화엑스포의 상징과도 같은 '108번뇌'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여전히 감동을 주는 문화자산"이라며, 예술이 주는 감동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지속가능한 문화관광의 밑거름이 된다"고 전했다.

 

다가오는 주말, 백남준 작가의 예술세계를 가까이에서 경험하고 싶다면 경주엑스포대공원을 방문해 보길 바란다. 다양한 콘텐츠와 함께 문화와 예술이 살아 숨 쉬는 특별한 시간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통일교 한학자 총재 세계일보 ‘독생녀’ 논란… 사이비 종교권력, 정치개입, 해외 도박까지 번지는 파장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통일교 한학자 총재가 스스로를 ‘독생녀’라 칭하며 신격화한 주장을 이어오면서, 통일교 내부의 후계구도 갈등과 기독교계와의 이단 논쟁, 정치권 로비 의혹에 이어 최근에는 해외 도박자금 유입 문제까지 불거지며 파장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단순한 사이비 이단 종교 논쟁을 넘어 정치, 언론, 경제, 범죄까지 얽힌 초대형 사회 문제로 번지고 있는 것이다. 최근 세계일보 임직원모임에서 한학자 총재는 자신을 “원죄 없이 태어난 유일한 존재이자 창조주의 어머니인 독생녀 ”라고 강조하며, 문선명 총재와 함께 인류 구원의 사명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통일교 창시자의 직계 아들들과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결정적 요인이 됐다. 정작 문형진, 문국진 등 문선명 총재의 아들들은 한 총재가 통일교 교리를 자기 중심으로 재편하고 교권을 장악하기 위해 ‘독생녀’ 교리를 정치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기독교계는 통일교의 독생녀 교리와 ‘창조주 어머니’ 개념이 성경과 정통 신학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며 통일교를 이단 및 사이비 종교로 규정했다. 한국뿐 아니라 일본 등지에서도 통일교의 종교 활동을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