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는 주프랑스한국문화원과 공동 주관으로 5월 22일부터 9월 6일까지 문화원에서 제주의 고유하고 독특한 문화를 선보이는‘2025 한국문화제-테이스트 코리아(Taste Korea)! 제주스페셜’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국문화제 테이스트 코리아는 매년 새로운 테마로 한식과 한국의 우수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프랑스 현지에 소개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한국 관광 홍보를 위한 대규모 복합 문화행사이다.
이번 제주스페셜 행사는 제주콘텐츠진흥원 등 도내 문화예술기관 및 한국관광공사 파리지사 등과 협력해 ▲개막식 ▲전시회 ▲공연 및 컨퍼런스 ▲한식 리셉션 ▲제주영화 상영 ▲제주 올레 관광 홍보관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됐다.
개막식 5월 21일을 시작으로 5월 22일까지 양일간 문화원 공연장에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을 시작으로 명창 김향옥의 제주 농요 & 예닮 무용 콜라보 공연과 제주 퓨전 국악 밴드 The 퐁낭(더 퐁낭)이 참여 하여 제주 문화예술 공연이 성대하게 열린다.
개막식 한식리셉션은 제주 해녀 콘텐츠 기반 로컬 기업 ‘해녀의 부엌’이 담당한다. 제주 뿔소라, 상웨떡, 쉰다리 등 제주 대표 음식과 함께 해녀문화 콘텐츠 공연을 감상할 수 있다.
제주 스페셜 특별기획전〈제주, 바다와 함께 살다〉는 유네스코가 인정한 제주의 자연환경과 해녀 문화를 중심으로 독특한 제주의 문화를 사진과 영상 작품으로 전시한다.
• 제인 진 카이젠(Jane Jin Kaisen)은 제주의 자연과 역사 문화유산을 소재로 해녀의 경험과 정신을 그려낸 작품을 선보이고, 시각 연구 밴드 이끼바위쿠르르(ikkibawiKrrr)는 해녀 합창단의 목소리를 통해 섬이 지닌 연대의 기억을 되새긴다.
• 장 줄리앙 푸스(Jean-Julien Pous)는 제주 해녀와 프랑스 피레네산맥의 염소 치즈 농가 여성의 이야기를 함께 보여준다. 고희영의 다큐멘터리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살아가는 바다의 여인들을 향한 애정이 어린 시선을 보여주며, 사진작가 김형선은 흰 배경의 천 앞에 선 해녀의 얼굴을 직시한다.
• 해녀들이 실제 사용했던 물옷과 물질 도구와 함께 강진주의 해녀 도구 사진을 전시하며 해녀들의 삶을 입체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 또한 장민승은 제주도 해안가와 한라산 입·하산을 반복하며 경유한 자연을, 정상기는 섬의 산물 용천수를 담으며 제주의 독특한 생태가 지닌 생명력을 포착한다.
제주관광공사는 한국관광공사 파리지사와 협력하여 « 혼자 걸으며 나는 내 마음을 만난다: 제주 올레 » 전시를 선보인다. 제주 27개 올레 코스를 따라 펼쳐지는 자연과 문화의 풍경을 섬세한 그림으로 풀어내며, 제주 올레의 매력을 다채롭게 보여준다.
5월 23일에는 제주4·3 오페라 ‘순이삼촌’ 공연 영상 상영회가 개최되며, 소프라노 강혜명이 직접 참석해 작품 설명과 관객과의 대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컨퍼런스는 5월 26일에서 5월 27일까지 이틀간 고산차귀도해녀소리보존회가 참여하여 제주 해녀 공연 및 토크 콘서트‘숨.빛.소리’를 진행하다.
도내 문화예술 유관기관과의 협력사업으로 구성되는 특별 프로그램도 눈길을 끈다.
〈시네-클럽 코레(Ciné-Club Corée) 특별 상영회: 제주를 만나다〉는 제주콘텐츠진흥원와 협력해 5월 20일부터 6월 6일까지 제주 역사·문화 소재 영화 및 다큐멘터리 등 총 5편을 상영한다.
• 고희영 감독 및 이상목 감독은 영화 상영 후 현장에서 작품 창작 과정 및 메시지 등 관객들과 소통하는 특별한 시간을 갖는다.
6월 20일부터는 아모레퍼시픽재단과 협력해 제주 자연 소재 몰입형 미디어 매핑 설치 작품《물의 자리: 돌 풀 바람》을 선보일 예정이다.
〈제주도, 바다와 함께 살아가다〉특별 기획전의 일환으로, 제주에서 직접 촬영·채집한 영상과 사운드를 바탕으로 제주의 바다, 오설록 차밭 등 제주의 자연을 담았다.
섬세하고 감각적인 몰입형 영상과 사운드를 통해 관람객에게 마치 제주의 자연 속에 있는 듯한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세계 문화예술의 중심지 프랑스 파리에서 제주의 고유한 문화적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돼 매우 의미 깊다”며 “유네스코 6관왕 제주의 독특한 자연환경과 문화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제주를 지속가능한 글로벌 문화․관광 허브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