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과기정통부, 제11기 실험실창업탐색교육 발대식 개최

110개 이공계 예비창업팀,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지원」 착수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영우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월 26일 고려대학교 SK미래관 최종현 홀에서 ’25년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의 시작을 알리는 ‘실험실창업탐색교육 발대식’을 개최했다.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이 주관하는 발대식은 「한국형 아이코어 시범사업(’15년~, 현재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지원)」 착수를 기점으로 올해 11년 차를 맞는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에 선정된 이공계 대학·출연(연)의 예비 창업자 교육 착수를 격려하는 자리이다.

 

발대식에는 과기정통부 유상임 장관, 고려대학교 김동원 총장, 이화여자대학교 이향숙 총장, 한국과학기술원 이광형 총장을 비롯한 7개 실험실창업혁신단 소재 대학 관계자,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김봉수 원장,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한정화 이사장, 선배 창업가 등이 참석하여 전국 41개 대학·출연(연)에서 선발된 110개 예비 실험실창업탐색팀 300여 명을 격려했다.

 

발대식 행사는 △1부 창업탐색팀을 비롯한 참여자 소개, 명함수여식 행사 및 선배 창업가 강연, △2부 벤처기업 투자사(VC) 특강,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 특강 및 선후배 간 교류(네트워킹) 행사 순서로 진행됐다.

 

유상임 장관은 이 자리에서 창업탐색팀이 교육 기간에 사용할 명함을 전달하여 이들의 새로운 도전을 축하했으며, 김인철 ㈜워터트리네즈 대표 또한 선배 창업가로서 먼저 겪은 귀중한 창업 여정을 공유했다.

 

김인철 대표는 2024년 본 사업 참여 중 ‘불소 고분자를 대체할 수 있는 원천 고분자 소재를 기술’을 사업화하여 창업했다. 창업 이후에는 6,200여 개 팀이 참여한 국내 최대 창업경진대회인 「2024 도전! 한국형- 창업기업(K-스타트업)」에서 예비창업부문 대상(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이 외에도 2023년 대상(대통령상)을 수상한 ‘㈜알데바’, 2022년 대상(국무총리상)을 수상한 ‘㈜에코텍트’ 모두 실험실창업탐색교육을 통해 창업에 도전한 기업들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들 선배 창업자를 중심으로 선·후배 관계망을 더욱 공고히 하여 동문의식(멤버십) 함양뿐만 아니라 실질적 협력을 위한 지원을 체계화할 예정이다. 현재 7개 실험실창업혁신단 중심의 지역 기반 관계망 구축과 더불어, 앞으로는 전국단위의 동문 교류 기회를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현재 활동 중인 226개의 창업기업뿐만 아니라, 연구계·산업계·투자업계 등에 진출한 사업수료자 전체가 지식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교류 범위 또한 확대할 계획이다.

 

발대식에 참여한 창업탐색팀은 앞으로 약 8개월간 자신들의 기술과 사업 모형을 기반으로 국내·외 각지에서, 많게는 100여 명의 잠재 고객들을 직접 면담하여 사업타당성을 검증하고, 이후 시제품 제작 · 기업설명활동 (IR, Investor Relations) · 상담(멘토링) 등의 과정을 통해서 창업을 준비해나가게 된다.

 

이날 행사에서 과기정통부 유상임 장관은 “혁신창업을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는 전 세계적 흐름이며, 우리나라도 예외가 될 순 없다”며 실험실 기반의 혁신창업 중요성을 강조하며, “많은 연구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을 지속하여 사업화 성과 창출에 앞장서 주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효과와 한계 분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전국을 덮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하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냉방시설 확대, 무더위쉼터 운영 등의 지원책을 마련했지만, 실제 효과와 한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정부의 폭염 대책은 주로 무더위쉼터 확대 운영과 취약계층에 대한 냉방비 지원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무더위쉼터 접근성이 낮은 지역이나,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으로 쉼터 이용이 어려운 취약계층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냉방비 지원의 경우 지원 대상 및 규모가 제한적이며, 실제 지원금이 생활고에 처한 취약계층에게 충분한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고령층이나 장애인 등 특정 취약계층의 경우, 단순한 냉방비 지원 외에 더욱 적극적인 돌봄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정책 외에도 지역사회 차원의 노력이 중요하다. 주민센터, 종교시설, 복지관 등 지역 내 유관기관들이 취약계층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돕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폭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