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뮤지컬배우 김준현·김승대, 수익금 기부 뮤지컬 콘서트 게스트 참여


 
공연 수익금을 소외 계층에 기부하는 자선 공연에 뮤지컬배우들의 활동이 눈에 띤다.

2014년 마지막을 빛내는 대작이라는 평을 얻고 있는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에서 오를레앙 공작 역을 맡은 뮤지컬배우 김준현은 29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열리는 ‘호이 스타일 매거진쇼’에 게스트로 출연한다.
 
이번 무대에는 뮤지컬 라카지의 이지훈, 뮤지컬 킹즈부츠의 최유하, 영화배우 강신일 등 유명 배우들이 함께 꾸밀 예정이여서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뮤지컬배우 김호영이 진행으로 계속 이어지고 있는 본 공연은 연말 자선 콘서트로 진행되어 수익금의 일부가 노원교육재단에 기부될 예정이다.

악역 연기로 화제를 모으고 있는 김준현은 배역과는 180도 다른 훈훈한 면모로 특별한 무대를 선사할 계획이다. 이에 그동안 뮤지컬 무대에서 볼 수 없었던 반전 매력을 기대하는 팬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연말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는 뮤지컬 ‘그날들’에서 무영 역으로 활약 중인 뮤지컬배우 김승대 역시 29일 삼성동 올림푸스 홀에서 열리는 ‘후엠아이(WHO AM I) 콘서트’에 게스트로 참여한다.

관객과 배우가 함께 수다 떨며 소통하는 신개념 뮤지컬 콘서트를 표방하는 본 공연은 수익금을 소외 계층 청소년의 문화 교육 지원에 사용하는 ‘착한 콘서트’로서 올해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게스트로 김승대와 강태을이 출연하게 됐다.

올 한해 뮤지컬 ‘태양왕’과 일본에서 개최된 뮤지컬 콘서트 ‘보이스 오브 원더즈(VOICE OF WONDERS)’를 성황리에 마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온 김승대는 이번 공연에서 재미난 무대 위 에피소드들과 색다른 뮤지컬 넘버들을 선보일 예정으로 뮤지컬 팬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준현과 김승대의 소속사 EA&C는 "평소 자선 활동에 관심이 많은 아티스트들이라 망설임 없이출연의지를 밝혔다."며 "매서운 한파에 마음까지 꽁꽁 얼어붙기 쉬운 연말, 취지가 좋은 공연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소외되기 쉬운 이웃들과 따뜻한 온정을 나눌 수 있기에 많은 관객들이 함께 하면 좋겠다"는 말을 전했다.

한편, 김준현은 내년 2월 1일까지 잠실 샤롯데씨어터에서 공연되는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에, 김승대는 내년 1월 18일까지 대학로 뮤지컬센터에서 공연되는 뮤지컬 ‘그날들’에 출연 중이다.
 
이수연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