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청년도약계좌, 내년부터 기여금 대폭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2025년 1월부터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원이 대폭 확대된다.

 

정부는 가입자들의 실질적인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기존 월 최대 2만 4천 원이던 기여금을 3만 3천 원까지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매칭 한도를 확대 적용하면서 이루어진다.

 

지난해 106만 명이 새롭게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해 연말 기준 누적 가입자는 157만 명에 달했다. 이는 가입 대상 약 600만 명 중 4명 중 1명 이상이 계좌를 통해 자산 형성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기존에는 연소득(총급여 기준) 4,800만 원 이하 가입자에 한해 월 최대 40만~60만 원까지 기여금 매칭 한도를 지원했으나, 초과 납입분에 대해 기여금을 받을 수 없다는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에 따라 내년 1월부터 모든 가입자가 실제 납입한 금액에 대해 매칭 한도와 비율을 조정받을 수 있게 된다. 연소득 2,400만 원 이하인 가입자가 매월 70만 원을 납입할 경우, 기존 월 2만 4천 원에서 최대 월 3만 3천 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조치로 청년도약계좌의 일반 적금상품 대비 연간 수익 효과는 기존 8.87%에서 최대 9.54%로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에 따라 3년 이상 계좌를 유지하면 중도 해지 시에도 비과세 혜택과 함께 기여금 일부(60%)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일반 적금상품 대비 연간 수익 효과는 7.64%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2년 이상 계좌를 유지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할 경우 개인신용평가 점수가 자동으로 5~10점 가산된다. 또한, 가입자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2025년 하반기부터는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 인출이 가능하도록 부분인출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2025년 1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은 1월 2일부터 10일까지 운영되며, 신청은 농협(대표 이석용), 신한, 우리, 하나, 국민 등 취급은행 모바일 앱에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계좌 개설은 가입 요건 확인 후 가능하며, 1인 가구 청년은 1월 16일부터, 2인 이상 가구 청년은 1월 27일부터 각각 개설이 허용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국무총리 새만금 방문, 속도감 있는 새만금 개발 기대

데일리연합 (SNSJTV) 장우혁 기자 | 김민석 국무총리가 9월 3일 새만금개발청을 비롯한 주요 현장을 방문해 새만금 개발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전북자치도와 함께 향후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단순한 업무 점검을 넘어, 지난 8월 4일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가 국무총리를 면담하며 글로벌 메가특구 지정과 새만금 SOC 일괄 예타 면제 등 현안을 직접 요청한 데 따른 후속 조치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당시 면담에서 제기된 주요 건의사항을 국무총리가 직접 현장에서 확인하고 정책 검토 의지를 보인 것이다. 김관영 지사가 가장 먼저 제시한 건의는 ‘새만금 글로벌 첨단전략산업기지 구축’이다. 전북도는 새만금을 단순한 개발사업의 공간이 아니라, 국가균형발전과 미래산업 육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략적 거점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광역 단위 포괄 규제특례를 담은 ‘글로벌 메가특구(메가샌드박스)’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새만금이 ‘제로베이스 지대’로 기능해야 한다며 첨단전략산업이 규제와 이해관계로부터 자유롭게 실증·사업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SOC 인프라 ▲인력양성 ▲전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