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2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야놀자 플랫폼, 5년간 21.9조 원 경제효과 창출

부가가치유발효과 8.7조 원
관광 촉진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야놀자 플랫폼(대표 배보찬)은 18일 '2024 놀 웨이브 리포트-민관협력 편'을 통해 지난 5년간 21조 9,000억 원의 생산유발효과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숙박, 교통, 음식 등 여행 관련 소비가 다양한 산업 활동을 촉진한 결과로,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기반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부가가치유발효과는 8조 7,000억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여행을 통해 지역사회에 발생한 이윤과 임금 등을 포함하며, 플랫폼을 통한 관광 촉진이 지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야놀자 플랫폼의 비수도권 숙소 예약 비중은 2019년 55%에서 2024년 60%로 증가했다. 이는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관광 경쟁력을 높인 결과로 분석된다.

 

야놀자 플랫폼은 지난 5년간 국내 관광 경쟁력 강화와 지역 접근성 향상, 지역 자생력 확보를 목표로 총 86회의 민관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이를 통해 약 1조 2,000억 원 규모의 고객 혜택을 제공하며 지역 관광 활성화를 지원했다. 또한, 30여 개 지자체와 21만 개 이상의 파트너사와 협업해 광범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러한 협업 모델의 성공을 바탕으로, 야놀자 플랫폼은 관광 경쟁력 강화를 위한 'D.R.I.V.E' 모델을 제시했다. 이는 ▲지역의 숨겨진 매력 탐구(Discovery) ▲여행의 모든 과정 연결(Relationship) ▲축제를 통한 여행의 즐거움 강화(Inspiration) ▲여행과 일상의 가치 결합(Value) ▲관광객의 지역 체험 기회 확대(Engagement) 등 다섯 가지 핵심 전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보찬 대표는 "지난 5년간 국내 여행의 매력을 알리는 활동을 강화해왔다"며, "다가오는 5년은 국내외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최상의 여행 환경을 구축해 여가 산업의 규모를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어 "이를 통해 글로벌 관광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공고히 하고 대한민국이 관광대국으로 나아가는 여정에 함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퀀텀마인드, 차세대 멀티모달 AI '뉴럴링크 5' 공개...인간 수준 추론 능력 '주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AI 선도 기업 퀀텀마인드가 오늘(11월 1일) 오전, 차세대 멀티모달 AI 모델 '뉴럴링크 5'를 공식 발표하며 전 세계 기술 커뮤니티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뉴럴링크 5는 기존 AI 모델의 한계를 뛰어넘어,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인간 수준에 근접한 복합적인 추론 능력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뉴럴링크 5는 특히 단순한 데이터 결합을 넘어, 서로 다른 모달리티 간의 미묘한 관계와 맥락을 파악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퀀텀마인드 측은 데모를 통해 복잡한 시각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세한 상황 설명을 생성하고, 음성 명령만으로 복합적인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며, 심지어 특정 상황에 대한 감정적 뉘앙스까지 이해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이는 산업 자동화, 의료 진단, 교육 콘텐츠 개발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을 시사한다. 뉴럴링크 5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사회 전반에 걸친 생산성 향상과 새로운 서비스 창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