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이마트, 연말 모임 필수템 최대 50% 할인… 스테이크부터 어묵탕까지 ‘가격파격 선언’

스테이크용 양갈비, 항공 직송으로 신선도 강화
플레이팅에 딱! 파프리카 50% 할인
겨울 국물 요리 대세… 어묵탕 43% 할인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류승우 기자 | 연말 모임철을 맞아 이마트가 스테이크용 양갈비, 파프리카, 어묵탕 등 주요 먹거리와 생필품을 최대 50% 할인하는 ‘12월 가격파격 선언’을 내놓으며, 소비자 물가 안정에 나섰다.

 

스테이크용 양갈비 20% 할인… 항공 직송 신선도 강조
이마트는 연말 모임 메뉴로 인기 있는 스테이크용 호주산 ‘램 숄더랙’을 정상가 대비 20% 할인한 100g당 3,980원에 선보인다.


특히 해당 상품은 1년 미만 양고기로 부드러운 육질이 특징이며, 호주 현지 협력사와 사전 계약으로 물량을 대량 확보했다. 항공 직송으로 신선도까지 더했다.

 

파프리카 50% 할인… 연말 플레이팅 트렌드 겨냥
스테이크와 함께 곁들일 채소로 파프리카(3입)를 정상가 대비 50% 저렴한 2,980원에 판매한다. 빨강과 노랑 색상이 섞인 파프리카는 플레이팅 수요를 반영한 기획 상품으로, 이마트는 전남 영암 등 신규 산지를 발굴해 평소 대비 2배 물량인 300톤을 확보했다.

 

국물 요리 수요↑… 어묵탕 종합모듬 43% 저렴
겨울철 따뜻한 국물 요리를 찾는 소비자를 위해 ‘삼진어묵 국탕종합모듬(895g)’을 정상가 대비 약 43% 할인한 6,980원에 제공한다. 해당 상품은 삼진어묵과 협업해 10만 개 대량 매입으로 가격을 낮춘 초저가 기획 상품이다.

 

생필품도 저렴하게… 40개 품목 추가 할인
이마트는 가공식품부터 생활용품까지 총 40개 품목을 선정해 추가 할인 행사를 연다. 대표 상품으로는 ‘동원 통그릴 비엔나’, ‘CJ 비비고 사골곰탕’, ‘코디 순한3겹 화장지’ 등이 포함돼 있다.

 

황운기 이마트 상품본부장은 “연말 수요가 높은 품목들을 엄선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매입 경쟁력을 통해 고객에게 필요한 상품을 저렴하게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마트의 이번 행사는 연말 연휴 시즌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덜고, 겨울철 먹거리 및 생활 필수품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12월 6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효과와 한계 분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전국을 덮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하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냉방시설 확대, 무더위쉼터 운영 등의 지원책을 마련했지만, 실제 효과와 한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정부의 폭염 대책은 주로 무더위쉼터 확대 운영과 취약계층에 대한 냉방비 지원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무더위쉼터 접근성이 낮은 지역이나,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으로 쉼터 이용이 어려운 취약계층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냉방비 지원의 경우 지원 대상 및 규모가 제한적이며, 실제 지원금이 생활고에 처한 취약계층에게 충분한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고령층이나 장애인 등 특정 취약계층의 경우, 단순한 냉방비 지원 외에 더욱 적극적인 돌봄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정책 외에도 지역사회 차원의 노력이 중요하다. 주민센터, 종교시설, 복지관 등 지역 내 유관기관들이 취약계층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돕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폭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