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인천 11.6℃
  • 맑음수원 12.8℃
  • 맑음청주 12.9℃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맑음전주 13.0℃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여수 13.8℃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천안 12.0℃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인천 수소차 6년 만에 2천 대 돌파… 충전 인프라 '부족'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인천에 수소차가 도입된 지 6년 만에 누적 대수가 2천 대를 넘어섰지만, 충전소 인프라 격차로 인해 수소 공급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인천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처음 수소차 214대가 도입된 이후 2024년 9월 기준으로 인천에 총 2,320대의 수소차가 운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승용차가 1,984대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버스 324대, 트럭 6대, 청소차 6대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수소 버스는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셔틀버스 등으로 활용되며 대중교통 분야에서의 사용이 늘고 있는 상황이다.

 

군‧구별로 보면 서구가 549대로 수소차가 가장 많았고, 연수구(361대), 남동구(347대)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수소차가 많은 지역에 비해 충전소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서구에는 6개의 충전소가 있지만, 연수구에는 단 한 곳만 운영되고 있으며, 계양구와 부평구는 충전소가 아예 없다.

 

또한, 수소 공급 문제도 지적된다. 매년 말 주요 수소 공급처에서 안전점검으로 수소 생산이 축소되면서, 올해 초 수소 시내버스 운행에 차질이 빚어지기도 했다.

 

허종식 의원은 “수소차는 친환경 미래 교통수단의 핵심이지만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라며 “충전소 확대와 안정적인 수소 공급 체계 구축을 위해 범부처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대우건설 “13년째 멈춰선 동작구 재개발, ‘더 좋은 집’ 약속 뒤 남겨진 책임 공백”

서울 동작구 본동 441번지 일대에서 시작된 지역주택조합 방식의 재개발 사업이 13년째 지지부진한 상태다. 주민들은 “노후 주택을 철거하고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에 들어가게 해주겠다”는 제안을 믿고 수억 원의 분담금을 냈지만, 지금은 집도 신용도 잃은 채 법정 앞에 섰다. 이 사업은 조합 조건의 미비, 대기업의 채무보증 구조, 행정기관의 인허가 책임 유보 등 복합적 문제를 드러내며 한국 재개발 시스템의 민낯을 보여주고 있다. 조합의 구조적 결함 2007년 설립된 ‘노량진본동지역주택조합’은 무주택자·전용면적 60㎡ 이하 주택 보유자들을 대상으로 조합원을 모집했다. 조합원들은 아파트 한 채를 기대하며 1인당 2억~3억 원대의 분담금을 냈다. 하지만 조합은 토지확보율, 조합원 동의율 등 사업 추진에 필수적인 조건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던 것으로 보고된다. 또한, 조합장은 수백억 원대 횡령 혐의로 실형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조합의 내부 부실이 사업의 본궤도 진입을 막았고, 결국 2012년 약 2 700억 원 규모의 대출금 만기 상환을 못해 파산 상태에 빠졌다. 대기업의 채무보증과 책임 회피 논란여전.시공사로 선정된 대우건설은 조합의 PF 대출에 연대보증 형태로 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