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사회포커스] 2018년도 국내 방송통신광고 시장 현황과 2019~2020년 전망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사회포커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18년도 국내 방송통신광고 시장 현황과 2019~2020년 전망을 담은「2019년 방송통신광고비 조사보고서」를 발표했다.

  본 조사는 2014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통계조사(통계청승인, 제920021호)로서, 국내 소재의 매체사를 대상으로 광고매출액 조사를 통해 국내 광고시장의 규모 및 매체별·광고유형별 광고시장의 변화 추이를 파악함으로써 방송통신광고 산업의 진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추진해 오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 방송통신광고비는 전년도(2017년, 12조 7,535억 원)보다 5.7% 증가한 13조 4,786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2019년 광고비는 13조 9,156억 원으로 2018년 대비 3.2%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방송광고>
  2018년 방송광고비는 3조 6,546억 원으로 전년 대비 7.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방송광고비의 85.8%의 비중을 차지하는 지상파TV(38.9%)와 케이블PP(46.9%)의 광고비가 모두 전년대비 각각 8.4%, 7.6% 감소한 1조 4,219억 원, 1조 7,130억 원으로 조사됨으로써, 전체 방송광고비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IPTV(1,161억, 16.9%↑), 위성방송(511억, 6.6%↑), 케이블SO(1,408억, 1.2%↑)의 광고매출액은 전년대비 증가하였다.

<온라인광고>
 2018년 온라인광고비는 5조 7,1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9.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광고비의 64% 비중을 차지하는 모바일광고비가 3조 6,618억 원으로 27.8% 증가하여 총 온라인광고비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PC)광고비도 7.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쇄광고·옥외광고·기타 광고 등>
 2018년 인쇄광고비는 2조 3,47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그 중 비중이 큰 신문 광고비(81.1%)가 19,031억 원으로 2.4% 증가하여 총 인쇄광고비의 증가를 견인했다.

  2018년 옥외광고비는 1조 3,29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형 광고비는 전년대비 3.8% 감소한 9,720억 원으로 조사되었으나,  디지털사이니지 광고비가 전년대비 21.3% 증가한 3,579억원으로 옥외광고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외 생활, 취업정보 등 기타광고비는 4,290억 원으로 전년대비 4.1%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시장 종사자 현황 >
  2018년 기준 국내 광고시장 종사자 수는 총 38,067명으로 조사되었으며,매체별로는 신문·잡지 등 인쇄광고 시장의 종사자가 전체 종사자의 58.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성별로는 남성종사자가 여성보다 약 1만 명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해남군 벼 깨씨무늬병 피해 농업재해 인정

데일리연합 (SNSJTV) 김준 기자 | 최근 고온다습한 기후 등으로 급속하게 확산하고 있는 벼 깨씨무늬병에 대한 농업재해가 인정돼 이에 따른 피해 조사가 실시된다. 이번 농업재해 인정은 명현관 해남군수와 박지원 국회의원이 지속적으로 전남도와 농림축산식품부에 건의한 결과로 지난 14일 농어재해대책심의위원회에서 농촌진흥청과 함께 기상과 병해 발생의 인과관계, 피해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종 농업재해로 확정됐다. 특히 해남군은 벼 수확 시기와 농업재해 공식 인정에 대비하여 이미 10월7일부터 선제적으로 벼 깨씨무늬병 피해 정밀 조사를 시행하여 어느 지자체보다 피해 조사가 빠르게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미 수확한 농가의 경우에도 RPC 수매실적 등을 확인하여 지원이 누락되지 않도록 피해 조사를 시행한 후 농약대, 대파대, 생계지원 등 재난지원금을 신속히 지급할 계획이다. 1ha당 농약대는 81만원, 대파대는 372만원, 생계지원비는 120만5,000원(2인 기준), 187만2,700원(4인 기준) 수준이다. 또한 농업정책자금 상환연기 및 이자감면을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