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사회포커스] 2018년도 국내 방송통신광고 시장 현황과 2019~2020년 전망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사회포커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18년도 국내 방송통신광고 시장 현황과 2019~2020년 전망을 담은「2019년 방송통신광고비 조사보고서」를 발표했다.

  본 조사는 2014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통계조사(통계청승인, 제920021호)로서, 국내 소재의 매체사를 대상으로 광고매출액 조사를 통해 국내 광고시장의 규모 및 매체별·광고유형별 광고시장의 변화 추이를 파악함으로써 방송통신광고 산업의 진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추진해 오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 방송통신광고비는 전년도(2017년, 12조 7,535억 원)보다 5.7% 증가한 13조 4,786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2019년 광고비는 13조 9,156억 원으로 2018년 대비 3.2%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방송광고>
  2018년 방송광고비는 3조 6,546억 원으로 전년 대비 7.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방송광고비의 85.8%의 비중을 차지하는 지상파TV(38.9%)와 케이블PP(46.9%)의 광고비가 모두 전년대비 각각 8.4%, 7.6% 감소한 1조 4,219억 원, 1조 7,130억 원으로 조사됨으로써, 전체 방송광고비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IPTV(1,161억, 16.9%↑), 위성방송(511억, 6.6%↑), 케이블SO(1,408억, 1.2%↑)의 광고매출액은 전년대비 증가하였다.

<온라인광고>
 2018년 온라인광고비는 5조 7,1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9.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광고비의 64% 비중을 차지하는 모바일광고비가 3조 6,618억 원으로 27.8% 증가하여 총 온라인광고비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PC)광고비도 7.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쇄광고·옥외광고·기타 광고 등>
 2018년 인쇄광고비는 2조 3,47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그 중 비중이 큰 신문 광고비(81.1%)가 19,031억 원으로 2.4% 증가하여 총 인쇄광고비의 증가를 견인했다.

  2018년 옥외광고비는 1조 3,29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형 광고비는 전년대비 3.8% 감소한 9,720억 원으로 조사되었으나,  디지털사이니지 광고비가 전년대비 21.3% 증가한 3,579억원으로 옥외광고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외 생활, 취업정보 등 기타광고비는 4,290억 원으로 전년대비 4.1%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시장 종사자 현황 >
  2018년 기준 국내 광고시장 종사자 수는 총 38,067명으로 조사되었으며,매체별로는 신문·잡지 등 인쇄광고 시장의 종사자가 전체 종사자의 58.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성별로는 남성종사자가 여성보다 약 1만 명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국내 기업, AI 반도체 시장 진출 가속화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국내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고성능·저전력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 확보에 주력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어 향후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하여, 고용량·고속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 학습 및 추론에 필요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제품을 출시하며,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이러한 국내 기업들의 적극적인 행보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의 경쟁 심화를 예고한다. 미국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 기업들은 자체적인 기술력과 생산 인프라를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