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7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박근혜, 국정원 특수활동비 개인 용도로 썼다"

 


[데일리연합 김민제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정원에서 상납받은 특수활동비가 무려 36억 5천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검찰 수사에서 드러났다.

 

검찰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취임 첫해인 2013년부터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상납받았다고 밝혔다.


자신이 임명한 국정원장 3명으로부터 받은 돈은 모두 36억 5천만 원으로 나타났다.


남재준 원장 6억 원, 이병기 원장 8억 원, 이병호 원장 재직 시에는 22억 5천만 원을 받았다.


검찰은 특히 박 전 대통령이 이병호 전 국정원장에겐 직접 "국정원자금을 계속 지원해달라"고 요구했다면서 박 대통령이 수동적으로 받기만 한 건 아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돈 가운데 33억 원은 이재만 전 총무 비서관이 혼자만 사용하는 청와대 내 금고에 넣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쓴것으로 파악됐다.


박 전 대통령의 옷값 등 최순실 씨가 운영했던 의상실 운영비로도 쓰이는 등 대부분 박 전 대통령과 관련된 사적 용도였다.


먼저 이 전 비서관은 이영선 행정관에게 매달 1천만 원을 건넸는데, 이 돈은 박 전 대통령이 최순실 등과 연락하기 위해 개통한 차명폰 51대의 요금을 내거나 삼성동 사저의 보일러 기름값, 전기요금, 사저 관리인 급여 등으로 사용했습니다.


검찰은 청와대 내에서 이 돈의 존재를 아는 사람은 박 전 대통령과 문고리 3인방 외에는 없었다고 밝혔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두려움 없는 신앙으로...

– 예배의 대상에서 동행의 존재로 갈릴리에서 다시 시작되는 복음 작은 자의 신앙이 세상을 바꾸다. 기독교는 오랜 세월 ‘하늘의 신’을 예배하는 종교였다. 그러나 교회는 이제 물어야 한다. “우리는 예수를 믿는가, 아니면 예수와 함께 걷고 있는가?” 신의 교회에서 ‘예수의 교회’로 나아가는 길, 그것이 미래 기독교의 방향이다. 1. 신의 교회에서 예수의 교회로 그리스도교의 역사는 예수를 경배의 대상으로 높여온 역사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예수를 ‘따르는 실천’은 교리와 제도 속에 묻혔다. 오늘날 교회는 웅장한 예배를 자랑하지만, 예수의 삶과 고난은 점점 멀어지고 있다. 미래의 교회는 신적 예수를 숭배하는 신앙을 넘어, ‘사람 예수’와 함께 걷는 신앙으로 나아가야 한다. 하늘의 권위를 강조하기보다, 땅의 고통을 품는 교회. 찬양보다 ‘동행’이 중심이 되는 교회, 그것이 변화의 출발점이다. ◇ 갈릴리에서 시작된 해방의 복음 예수의 복음은 예루살렘의 성전이 아니라, 로마 식민지의 가난한 변방 갈릴리에서 시작됐다. 그곳에서 예수는 세상의 끝자락에 선 사람들에게 말했다. “너희도 하늘의 사랑받는 자녀다.” 그 선언은 세상의 위계를 무너뜨렸다. 억눌린 자가 존엄을 되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