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인천 31.5℃
  • 맑음수원 32.9℃
  • 맑음청주 33.1℃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전주 34.0℃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여수 30.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천안 31.6℃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한국 가계부채 최고 수준"


 

 

 

[데일리연합 전호성기자] 금융기관 건전성 평가 기준으로 잘 알려진 국제결제은행 BIS가 최근 보고서를 내고 우리나라 가계부채 수준이 경제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수준이라고 경고했다.


국제결제은행, BIS의 보고서에 따르면 GDP대비 가계부채가 많고 상승폭이 큰 국가들의 상황이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을 기준으로 가파르게 올라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BIS는 한국의 가계부채가 올 6월말 기준 GDP대비 93.8%로 역대 최고기록이라면서 "경제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주택담보대출(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완화했던 점을 원인으로 꼽았다.


우리나라 가계대출은 연평균 60조원 수준이었지만, 2014년 8월 최경환 당시 경제부총리가 부동산 활성화 대책을 발표한 뒤 2015년과 2016년 두 배가 넘는 129조원씩 매년 증가했다.


BIS 지적처럼, 1천342조원 규모의 주택담보 대출은 우리 경제에 큰 부담이다.


정부는 빠르면 이번주 임대차 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할 전망이다.


가계부채를 잡으면서 서민들을 보호해야하는 두 마리 토끼를 어떻게 잡을지 고민이 클 것으로 보인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카카오, AI 기술 경쟁 심화 속 '카카오브레인' 성장 전략 주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국내 AI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카카오는 자체 AI 전문 자회사인 카카오브레인을 중심으로 한 공격적인 성장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네이버, LG 등 대기업들이 AI 기술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집행하는 가운데, 카카오는 어떻게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지 주목된다. 카카오브레인은 초거대 AI 모델 'KoGPT'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이미지 생성 AI, AI 기반 의료 서비스 등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실제 서비스 적용을 통한 수익 창출과 사용자 경험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그러나 카카오가 직면한 과제도 존재한다. 네이버와 같은 선두주자들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고, 다양한 AI 서비스들을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시켜야 하는 부담감을 안고 있다. 또한, AI 기술 개발에 따른 윤리적 문제 및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려도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카카오는 이러한 과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 기술 도입 및 파트너십 구축, 인재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