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인천 31.5℃
  • 맑음수원 32.9℃
  • 맑음청주 33.1℃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전주 34.0℃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여수 30.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천안 31.6℃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1인당 월 13만 원 최저임금 지원"

 
 

[데일리연합 전호성기자] 내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중소 영세 사업자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저임금 근로자 1명당 월 최대 13만 원씩 국가예산으로 한시 지원하는 대책을 내놨다.

정부가 지원하기로 한 대상은 중소·영세사업장의 저임금 근로자들이다.

30인 미만 사업장에서 한 달 이상 일한 월급 190만 원 미만 근로자 1명당 월 최대 13만 원의 보조금을 1년 동안 한시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것.

투입될 예산은 2조 9천7백억 원, 전국적으로 3백만 명이 혜택을 받게 될 예정이다.

최저임금을 준수하고 지원 신청 전에 고용보험에 가입하는 사업주가 대상이다.

다만, 최저임금 인상으로 해고 우려가 높은 아파트 경비원과 청소원의 경우 30인 이상 사업장도 지원이 가능하도록 예외를 뒀다.

하지만 정부가 최저임금을 2020년까지 1만 원으로 단계적으로 인상하기로 한 만큼, 내년 1년만 지원하는 건 미봉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또 민간업체의 인건비를 세금으로 메워주는 것이 합당한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거세다.

특히 야당의 반발이 심해 관련 예산이 국회 문턱을 통과하기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카카오, AI 기술 경쟁 심화 속 '카카오브레인' 성장 전략 주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국내 AI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카카오는 자체 AI 전문 자회사인 카카오브레인을 중심으로 한 공격적인 성장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네이버, LG 등 대기업들이 AI 기술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집행하는 가운데, 카카오는 어떻게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지 주목된다. 카카오브레인은 초거대 AI 모델 'KoGPT'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이미지 생성 AI, AI 기반 의료 서비스 등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실제 서비스 적용을 통한 수익 창출과 사용자 경험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그러나 카카오가 직면한 과제도 존재한다. 네이버와 같은 선두주자들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고, 다양한 AI 서비스들을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시켜야 하는 부담감을 안고 있다. 또한, AI 기술 개발에 따른 윤리적 문제 및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려도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카카오는 이러한 과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 기술 도입 및 파트너십 구축, 인재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