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칭다오가 ‘중국에서 침수를 가장 무서워하지 않는 도시’

 독일 사람들이 건설한 칭다오의 지하수로,

수로 가장 높은 곳 높이는 2.5m이상, 폭은 3m

올해 홍수 기간 일부 지방들이 폭우 침해를 받아 도시 시내 홍수가 범람하고 칭다오(青岛)가 또 인기가 매우 높은 도시로 취급됐다.

인터넷 소식에 따르면 100여년 전 독일인 점령시기 지하 배관망 설치로 칭다오가 지금까지 장기간 ‘중국에서 홍수 침수를 가장 무서워하지 않는 도시’칭호를 자랑하고 있다.

연일 간 폭우에도 시내에는 물이 고인 곳이 하나도 없었다.

독일의 하수도 네트워크가 정말로 이처럼 신기한가? 기자가 현장 조사를 하면서 칭다오 지하 배수 시스템의 신비한 면사를 열어봤다.

근일 기자는 칭다오시 시남구 안후이로(青岛市市南区安徽路)를 방문했는데 이곳 지하는 바로 100여년전 창설한 독일 우수관망(雨水管网)이 여전히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안후이로로부터 줄곧 남으로 내려가면 칭다오 첸하이(青岛前海) 전선에 이르게 된다. 독일 지하 배관망 하구는 매우 거대한데 높이가 약 3m로서 사람이 3,4명이 나란히 출입할 수 있었다.

바다로 흘러드는 하구지면에서는 물이 바로 지하 배관망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하구로부터 들어 가보면 안은 마치도 거대한 산굴처럼 매우 깊다. 배관망 내부 지면에서는 수조 중의 물이 끝없이 대해로 흘로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칭다오시 남부 연해지역의 ‘독일 배관망’은 저명한 잔교(栈桥)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파이프 망 내부 구조로 보면 전체적으로 큰 돌과 콘크리트로 구축했는데 얼룩 진 벽에서는 백년 역사 흔적이 역력히 보인다.

칭다오의 지금의 배수 시스템에 독일 배수관망 공로가 얼마를 차지했을까? 기자가 칭다오시 수무(青岛市水务) 부문으로부터 알아본데 의하면 현재 칭다오의 배수 시스템 전체 길이는 7천㎞이며 그 중 시내 3개 구역에 배수 네트워크가 3천㎞된다. 그리고 현재 보류된 독일 지하 암거는 3㎞ 남았다.

칭다오가 물을 무서워하지 않는 데는 건국이후 칭다오사람들의 원창적인 배수 시스템의 공로도 매우 크다.

칭다오시 수무집단 배수공사(青岛市水务集团排水公司)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연간 칭다오는 배수 시스템 건설 강도를 끊임없이 강화했다.

지난해 말까지 관할구역 6개 구의 건설 면적이 566.37㎢이며 배수관망 전체 길이는 약 6993㎞로서 건설 표준과 밀도가 중국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현재 칭다오의 지하 배수관망 시스템이 여전히 빗물과 오수 분류(雨污分流) 방식을 채용하며 독일의 경험을 충분하게 채용하고 있다.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제1기 안동시 아동참여위원회 발대식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장우혁 기자 | 안동시는 9월 7일 시청 웅부관 청백실에서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참여체계로 제1기 안동시 아동참여위원회 발대식을 개최했다. 아동참여위원회는 아동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아동과 관련된 정책이나 제도 등에 참여할 수 있으며 아동의 권리증진을 위해 활동하는 아동 대표단이다. 아동위원 임기는 2년으로 아동복지 정책 수립, 아동친화적 도시 환경 조성, 아동의 건강 증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동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운영된다. 이번 발대식에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6학년까지 20명의 아동으로 구성된 제1기 아동참여위원에 대한 위촉장 수여와 함께 아동 4대 권리(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교육 및 위원장 선출 등을 통해 아동들이 시정에 참여하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준비됐다. 그 밖에도‘안동시를 소개해 보기’ 조별활동을 통해 안동시의 역사, 문화, 관광 명소, 특색 등을 자유롭게 조사하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위원으로 참여한 아동은“아동참여위원으로 활동하게 돼 기쁘고, 오늘 안동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