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고향 청송문화예술회관, '길 위의 작가 김주영' 토크 콘서트 열려


 
데일리연합 이수연 기자] 오는 12일 오후 7시 "Talk Talk 사과 토크 콘서트, ‘길 위의 작가’ 김주영 자서전”이 경북 청송의 청송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개최된다.

'Talk Talk 사과 토크 콘서트'는 12회 이상 북 콘서트를 기획하고 진행해 온 조화현 아이신포니에타 단장이 청송문화관광재단(대표 배수진)의 의뢰로 기획한 것으로 오는 12월까지 매월 둘째 주 수요일마다 북&토크 콘서트로 진행될 예정이다.

1939년 사과로 유명한 경북 청송에서 태어나 대하소설 ‘객주’를 통해 ‘길 위의 작가’라는 호칭을 얻은 김주영 작가가 그 첫 번째 주인공으로 그는 1970년 '여름사냥'이 <월간문학>에 가작으로 뽑힌 이후 1971년 '휴면기'로 <월간문학> 신인상을 받으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작품으로는 김주영에게 ‘길 위의 작가’라는 호칭을 안겨준 '객주'를 포함 '활빈도' '천둥소리'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화척' '홍어' '빈집'등 다수가 있고 유주현문학상(1984), 대한민국문화예술상(1993), 이산문학상(1996), 대산문학상(1998), 무영문학상(2001), 김동리문학상(2002), 은관문화훈장(2007), 김만중문학상(2013) 등을 수상한 바 있다.

i-신포니에타는 이준호 작곡의 25현 가야금 연주곡 ‘바람 강’을 시작으로 엘가의 사랑의 인사(Salut d' Amour)’, 슈베르트의 ‘세레나데(Serenade)’ 김연준의 ‘청산에 살리라’, 아일랜드 민요 ‘아 목동아 (Oh Danny boy)’등을 연주해 작가뿐 아니라 청송 관객들에게 i-신포니에타만의 음악적 색채가 잘 어우러지는 북 콘서트를 보여 줄 예정이다. 

또한, 김 작가의 자전적 소설 '잘가요 엄마'처럼 소소한 이야기도 나누는 시간이 마련된다.

기획을 맡은 조 단장은 “인천 지역에서 지역민들과 작가들의 소소한 이야기를 음악과 함께 나누려 시작한 <똑똑 톡톡, 북&토크 콘서트>가 입소문을 타면서 경북지역에서도 진행하게 돼 무척 자랑스럽다"면서 "인천문화의 위상을 잘 알리고 전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9월에는 어린이 대통령 뽀로로의 김종세 상무, 10월엔 박종숙 요리연구가 등 다양한 분야의 인사들과 북&토크 콘서트를 진행한다.

궁금한 사항은 아이신포니에타 홈페이지(www.i-sinfonietta.com)를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기업, 공급망 ESG 평가 의무화 및 녹색 전환 파이낸싱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기업 '테크노비전(TechnoVision)'이 오는 2026년부터 모든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를 의무화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녹색 전환을 위한 파이낸싱 지원을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강화되는 전 세계적인 ESG 규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분석된다. 테크노비전은 이번 발표에서 협력사들이 탄소 배출량 감축, 노동 인권 보호, 윤리 경영 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인 ESG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 협력사들이 ESG 전환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ESG 성과 연계형 대출 금리 우대, 녹색 기술 도입을 위한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실제적인 변화를 유도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최근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의무가 강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입법 논의가 활발히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