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클라라 무혐의, 소속사 회장이 협박… “불구로 만들겠다”

 

[데일리연합 이수연기자] 방송인 클라라와 소속사 회장간의 공방에서 검찰은 오히려 이규태 일광그룹 회장이 클라라를 협박한 것으로 판단하고 불구속 기소했다.

지난해 방송인 클라라와 기획사 측은 전속 계약 문제로 갈등을 겪었다.

이 과정에서 클라라는 기획사 이규태 회장으로부터 성적 수치심이 느껴지는 문자 등을 받았다며 계약을 무효로 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고, 이 회장은 오히려 클라라와 아버지 이승규씨가 SNS 메시지 등으로 자신을 협박했다며 두 사람을 고소했다.

경찰은 클라라와 이 회장 사이의 메시지 등이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내용은 아니라고 보고 클라라 부녀를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그러나 검찰의 판단은 달랐다.

서울중앙지검은 이 회장을 협박한 혐의로 고소당한 클라라 부녀에게 ‘죄가 안 됨’ 처분을 내렸다.

클라라가 수치심을 느낄 만했고 계약해지 요구 역시 정당한 권리행사라고 판단한 것.

검찰 관계자는 “성적 수치심을 느꼈다는 주장이 과장되거나 악의적인 것으로 볼 수 없다”며 “경찰에 신고하겠다는 표현도 사회 통념을 벗어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 회장이 클라라에게 “불구자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는 등의 협박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이 회장을 불구속 기소했다.

그러나 클라라와 소속사 측의 전속계약을 둘러싼 공방은 민사 재판을 통해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