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제33회 국제 방송·미디어·음향·조명 전시회(KOBA 2025)가 5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AI로 확장되는 창의성: 미디어 혁신의 새로운 물결'을 주제로, AI 기반 콘텐츠 제작, 클라우드 방송 시스템, 초고해상도 영상 솔루션, IP 기반 스튜디오 기술, AR·XR 통합 플랫폼 등 첨단 기술을 선보인다. 글로벌 기업으로는 블랙매직디자인(CEO Grant Petty), 캐논(CEO Fujio Mitarai), 니콘(CEO Toshikazu Umatate), 파나소닉(CEO Yuki Kusumi), 소니(CEO Hiroki Totoki), 야마하(CEO Takuya Nakata) 등이 참가한다. 국내 기업으로는 네이버클라우드(대표 김유원), 스트라(대표 이장우), 스트림비젼, 제머나이소프트(대표 강진욱), 사운드플랫폼(대표 서정훈), 디오비스튜디오(대표 권영준, 민병준) 등이 참여한다. 주요 기술 트렌드로는 AI 콘텐츠 자동화, 클라우드 기반 생중계 및 OTT 솔루션, IP 기반 방송 인프라, 5G·6G 기반 실시간 송출 시스템, AR·XR 통합 콘텐츠 제작,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 ‘전, 란’ OTT Netflix 영화가 첫 개막작으로 선정되어 영화제까지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습니다. 2일 부산 해운대구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문화홀에서 열린 제29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작인 Netflix 영화 '전, 란'기자회견이 열렸습니다. 김상만 감독이 제작 강동원 박정민 차승원 김신록 진선규 정성일이 출연한 Netflix 영화 ‘전, 란’ 박찬욱 감독도 제작에 참여하였습니다. 김상만 감독은 “영화가 어렵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시대마다 고비는 있었다"라며 “시대가 변함에 따른 통과의례라고 생각한다. 오만한 말씀이지만 영화는 계속 생명을 유지할 것이다"라고 이야기했습니다. 개막작을 선정한 데에는 대중성을 생각해 OTT를 떠나 “상업 영화지만 완성도가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여전히 영화제를 찾는 이유, 극장에 기대하는 부분은 공동의 경험이다. 한 공간 안에서 온전히 작품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라는 것이 특별한 경험이기 때문에 관객들이 버리진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OTT 작품이 부산국제영화제에 처음 공식 초청된 것은 2021년, 이후 개막식에 내걸리기까지 불과 3년밖에 걸리지 않았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