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미국, 유럽, 중국은 올해 또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휴머노이드의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더 이상 SF영화 속 이야기로 치부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인간과 유사한 형태의 로봇인 휴머노이드는 인간이 수행하는 많은 일들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며,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이에 대한 대비가 미흡한 상황이다. 본지는 휴머노이드 생태계를 분석하고,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본다. 급부상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현재는 휴머노이드를 일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지만, 업계에서는 치열한 경쟁이 진행 중이다. 테슬라는 최근 발표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의 생산 계획을 공개했다. 2025년 3,000~5,000대, 2026년 10만 대, 2027년 50만 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로봇 개발이 아닌 대량생산 체계 구축을 의미하며, 본격적인 시장 개화의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 휴머노이드 산업은 제조업에 속하는 만큼 대규모 일자리 창출과 높은 부가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로보티즈가 지난 18일 물적분할을 발표했다. 상법 개정안도 국회 통과를 한 상태이고 이미 LG화학, 카카오의 물적분할로 질려버린 투자자들한테는 이게 무슨 소리인가 싶을 것이다. 다만, 이번 물적분할은 그렇게 투자가치훼손까지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로보티즈측는 로봇액츄에이터, 자율주행사업 두 가지를 하고 있다. 매출 비중은 액츄에이터 98%, 자율주행로봇 2%이다. 로봇이 점차 널리 사용하면서, 로봇의 근육 역할을 하는 액츄에이터의 판매는 계속 증가 중이다. 반면, 로보티즈의 자율주행로봇인 개미는 배달서비스 전용인데,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개발비용이 더 비싼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율주행 사업부를 따로 신설회사로 떼어내서 비상장 상태로 냅둔다는 것이 로보티즈측의 입장이다. 어차피 로보티즈 투자자들은 액츄에이터를 보고 투자를 했기 때문에 매출 2% 미만의 자율주행로봇사업부가 분할로 떼어진다고 해도 큰 타격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기사원문 [이슈분석] 로보티즈 물적분할, "투자자 안심해도 되는 이유" -영상편집 : 윤태준 인턴기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로봇 액츄에이터 및 자율주행로봇을 제조하는 로보티즈(코스닥 108490, 대표이사 김병수)가 지난 18일 자율주행로봇 사업부를 물적분할한다고 공시했다. 새롭게 설립될 회사는 ‘로보이츠’로, 로보티즈가 지분 100%를 소유하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 로보티즈 측은 신설법인을 별도로 상장할 계획이 없으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모습이다. 그렇다면 이번 분할이 실제로 투자 가치를 훼손하는 결정인지 분석해본다. 로보티즈, 로봇 액츄에이터와 자율주행로봇 사업 전개 로보티즈는 로봇 액츄에이터(Actuator)와 자율주행로봇(제품명: 개미 GAEMI)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로봇 부품 제조와 완제품 생산을 모두 담당하고 있다. 이번 물적분할의 핵심은 자율주행로봇 사업부를 독립적인 법인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물적분할이란 기존 회사(로보티즈)에서 특정 사업부(자율주행로봇)를 떼어내 새 회사(로보이츠)를 설립하되, 기존 회사가 신설 법인의 지분 100%를 보유하는 방식이다. 즉, 기존 투자자들이 자율주행로봇 사업부의 지분을 간접적으로 보유하게 되는 구조다. 로보티즈는 이번 결정에 대해 자율주행로봇 사업부의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