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삼성SDI가 미국, 헝가리 배터리공장에 총 2조원 투자할 예정이다. 그런데, 주주들한테 돈을 빌리는 유상증자를 통해 2조원을 조달할 예정이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보니 1조 8800억원이 이미 있다. 그런데, 유상증자라니? 삼성SDI 측은 "슈퍼사이클을 대비하기 위한 유상증자이다"라고 설명했다. 슈퍼사이클을 회사 유보금으로 지불했으면 됐는데, 주주들한테 손을 벌리는 것이 이해가 안가지만, 앞으로 얼마나 ROE가 좋을지 지켜보자. -기사 원문 [이슈분석] 삼성SDI, 유상증자 2조에 주가 급락.. 주주들 반발 -영상편집 : 윤태준 인턴기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삼성SDI(코스피 006400, 대표이사 최윤호)가 2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한 직후 주가가 폭락했다. 이번 유상증자는 미국과 헝가리 배터리 공장 투자금 조달을 위한 결정이지만, 기존 주주들의 반발이 거세다. 심지어 현금이 1조 8,850억 원이 있는 상황에서 삼성SDI가 왜 유상증자를 선택했는지, 의문이 커지고 있다. 유상증자 2조 원, 어디 쓰려고? 삼성SDI는 지난 14일 공시를 통해 2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했다. 주요 투자처는 미국과 헝가리 배터리 공장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조 5,460억 원은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의 합작법인(JV)에 투입되며, 4,541억 원은 헝가리 배터리 공장 시설 투자금으로 사용된다. 삼성SDI가 미국 시장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미국은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핵심 지역이며, 각국을 상대로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현지 생산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삼성SDI는 미국 인디애나주 뉴칼라일(New Carlisle)에 35억 달러(약 4조 6,000억 원)를 투자해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으며, GM과 협력해 생산 역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대명소노그룹, 티웨이홀딩스 인수.. 그 속내는? 7배 프리미엄에도 ‘더 저렴한 선택?' 기사 보러가기 : [이슈분석3] 티웨이항공 인수한 대명소노그룹, "7배 프리미엄 가격에 샀다?"
● 예림당 vs 대명소노그룹, 티웨이항공 지분경쟁 시리즈 -[이슈분석1] 대명소노그룹 vs 예림당, 티웨이항공 주인은? -[이슈분석2] 티웨이항공, 대명소노그룹 말대로 "위기일까?" -[이슈분석3] 대명소노그룹 품에 안긴 티웨이항공, "그런데, 7배 프리미엄 인수가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대명소노그룹(소노인터내셔널, 대명소노시즌)이 티웨이항공(코스피 091810, 나성훈 부회장)의 지분을 보유한 티웨이홀딩스를 인수한다. 이번 거래를 통해 대명소노그룹은 티웨이홀딩스(코스피 004870, 황정현 대표이사)의 지분 46.26%를 2,500억 원에 매입할 예정이다. 해당 지분은 예림당(코스닥 036000, 나성훈 부회장)과 오너 일가(나춘호, 나성훈)가 보유하고 있던 것으로, 이번 인수를 통해 대명소노그룹이 항공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대명소노그룹은 애초부터 티웨이항공의 지분을 직접 매입하고 싶어 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티웨이홀딩스를 인수하는 방식을 택했을까? 티웨이항공이 아닌 티웨이홀딩스? 현재 티웨이홀딩스의 지분 구조를 살펴보면, 예림당이 39.30%, 나춘호
● 예림당 vs 대명소노그룹, 티웨이항공 지분경쟁 시리즈 -[이슈분석1] 대명소노그룹 vs 예림당, 티웨이항공 주인은? -[이슈분석2] 티웨이항공, 대명소노그룹 말대로 "위기일까?"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티웨이항공(코스피 091810)의 경영권을 둘러싼 대명소노그룹(회장 서준혁)과 티웨이홀딩스(코스피 004870)·예림당(코스닥 036000) 간의 지분 싸움이 본격화되고 있다. 대명소노그룹은 작년부터 꾸준히 티웨이항공의 지분을 늘려오며, 이제 티웨이홀딩스 및 예림당과의 지분 차이가 불과 3.37%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에 대명소노그룹은 이번 정기 주주총회에서 신규 이사 선임을 제안하며, 티웨이항공의 재무 악화와 경영진의 무능을 강하게 지적하고 나섰다. 과연 티웨이항공의 실적과 재무 상황은 어떤 상태일까? 본지는 이에 대해 조망해보고자 한다. 티웨이항공의 실적, 정말 위기인가? 최근 5년간 티웨이항공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2020년~2022년까지 심각한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국경 봉쇄와 항공 수요 급감이 원인이었다. 제주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등 모든 LCC 항공사들이 당시 적자를 기록한 만큼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HL홀딩스(코스피 060980, 정몽원 회장)가 2월 내 자사주를 전량 소각하겠다고 발표했다. 불과 지난해 11월까지만 해도 자사주를 비영리재단에 무상증여하려 했던 기업으로 지배구조 논란에 휩싸였던 만큼, 시장은 예상치 못한 결정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본지는 HL홀딩스의 자사주 악용 논란의 배경과 이번 소각 결정의 긍정적 영향을 분석해본다. 주주 환원정책 발표, 자사주 전량 소각 결정 HL홀딩스는 2024~2027년까지의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하며, 최소 주당배당금 2,000원 지급과 함께 2년간 총 2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발표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보유 중인 자사주를 오는 2월까지 전량 소각하겠다는 점이다. 투자자들은 이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이번 결정은 단순한 주주환원 정책을 넘어 HL홀딩스의 기업 거버넌스 개선이라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불과 몇 달 전까지 자사주를 지배구조 유지 수단으로 활용하려 했던 전례를 고려하면, 상당한 변화로 평가할 수 있다. HL홀딩스, '자사주 악용 논란'의 역사 HL홀딩스는 2020~2021년 사이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ENG/팟캐스트] 삼성생명, 삼성전자 지분 ‘대량매도 위기’ / Samsung’s Group : Potential Shake-Up in Governance #삼성화재 #자사주 #이재용 #삼성생명 #삼성전자 #삼성 #보험업법 #주주환원 #주식 #투자 #국내주식 #밸류업 #삼성그룹 ●기사 전문 보러 가기 : [이슈분석] 삼성생명, 삼성전자 지분, '전량매도 위기' =영상편집 : 윤태준 인턴기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지난 17일, 국회에서 삼성생명법이 재발의되면서 삼성그룹의 지배구조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삼성생명은 삼성전자 지분을 처분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본지는 삼성생명법이 무엇인지 이것이 왜 금산분리와 연결되는지 자세히 분석해보려 한다. 10년 넘게 계속된 입법 시도, 이번엔 다를까? 삼성생명법은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발의됐지만, 본회의를 통과하지 못했다. 그러나 올해 2월 17일 다시 발의된 만큼, 이 법안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본다. 삼성생명법은 보험업법 개정안으로, 보험사가 보유한 계열사 주식 및 채권을 평가할 때 기존의 취득원가(구입 당시 가격)가 아닌 현재의 시장가격(시가)으로 산정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행법과 삼성생명의 문제점은? 현재 보험업법에 따르면, 보험사는 계열사 주식 및 채권을 총자산의 3% 이내로 보유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보험사의 총자산이 100이라면 계열사 지분가치는 3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삼성생명의 경우, 삼성전자 지분 8.51%를 보유하고 있는데, 현 시가로 환산하면 총자산의 3%를 초과하는
● 고려아연-영풍/MBK 경영권 분쟁 시리즈 [이슈분석1] 고려아연 최윤범의 '개미 떡밥 던지기' [이슈분석2] 고려아연 임시주총 D-1, "승자는?" [이슈분석3] 고려아연 임시주총, 신의 한 수된 '상호주 의결권 제한' [이슈분석4] 고려아연 50억 자사주, 충성의 대가인가? [이슈분석5] 고려아연 분쟁, MBK·영풍 "아주 자신있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고려아연(코스피 010130, 최윤범 회장)과 영풍(코스피 000670, 장형진 고문)·MBK파트너스(김병주 회장) 연합 간의 경영권 분쟁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 핵심 쟁점은 ‘상호주(相互株) 의결권 제한’의 적용 여부이며, 이를 가르는 중요한 열쇠가 바로 고려아연 자회사인 SMC(선메탈코퍼레이션, 이하 SMC)의 법적 정체성이다. SMC가 유한회사인지 주식회사인지에 따라 경영권 향방이 갈릴 가능성이 크다. 경영권 분쟁 핵심 쟁점이 된 'SMC의 법적 형태' 이번 사태는 고려아연의 자회사인 SMC가 지난 1월 22일 영풍정밀이 보유한 영풍 지분 10.33%를 매입하면서 촉발됐다. 해당 거래로 인해 고려아연과 영풍이 서로 상대 회사의 지분을 보유하는 구조가 형성되었고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한화호텔앤드리조트(미래전략부문장 김동선)가 단체급식업체 아워홈 인수를 추진하는 가운데, 계열사 한화비전(코스피 489790 대표이사 안순홍)의 자금을 활용하려던 계획을 전격 철회했다. 이는 한화비전 주주들의 강한 반발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셋째 아들인 김동선 부사장이 이끄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기존 호텔 및 리조트 사업을 넘어 단체급식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아워홈 인수를 검토해왔다. 하지만 자금 조달 문제가 최대 걸림돌로 작용했다. 자금 조달 난항... 7,300억 부족 현재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보유한 현금성 자산은 1,300억 원 수준에 불과하다. 반면 아워홈의 기업 가치는 1조 5,000억 원으로 평가되며, 인수 목표 지분(57.84%)의 가격만 약 8,600억 원에 달한다. 결과적으로 7,300억 원의 자금이 추가로 필요했던 상황이다. 이에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부족한 자금을 계열사인 한화비전에서 조달하는 방안을 고려했다. 한화비전의 최대주주는 한화(33.96%)이며,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최대주주는 한화(49.80%)와 한화솔루션(49.57%)이다. 그러나 한화비전과 한화
● 고려아연-영풍/MBK 경영권 분쟁 시리즈 [이슈분석1] 고려아연 최윤범의 '개미 떡밥 던지기' [이슈분석2] 고려아연 임시주총 D-1, "승자는?" [이슈분석3] 고려아연 임시주총, 신의 한 수된 '상호주 의결권 제한' [이슈분석4] 고려아연 50억 자사주, 충성의 대가인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영풍(코스피 000670, 장형진 회장)·MBK파트너스 연합과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고려아연(코스피 010130 최윤범 회장)이 50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우리사주조합에 *무상출연한다고 공시하면서, 지난 주총 당시 시위에 대한 보상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자사주 무상출연이란 기업이 자신이 보유한 자사주(自己株, treasury stock)를 대가 없이 특정 목적을 위해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사주조합이 뭔데? 우리사주조합은 기업이 보유한 자사주를 임직원들이 공동으로 소유할 수 있도록 만든 조직이다. 일반적으로 자사주는 회사가 보유하지만, 우리사주조합의 경우 임직원들이 직접 주주가 되는 구조이다. 기업들은 우리사주조합을 통해 직원들에게 자사주를 무상 지급하거나 시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국내주식 폭망?" 상법 개정이 필요한 이유 #상법 #한국주식 #미국주식 ※ 본 쇼츠영상에는 뉴스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제작된 영상과 이미지가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상편집 : 곽중희 기자
● LG CNS, 중복 상장 논란 시리즈 1. [이슈분석1] 상장 임박한 LG CNS, 투자자들 알아야 할 '이것' 2. [이슈분석2] LG CNS 상장, LG주가 떨어지는데 "최대주주들 왜 웃어?"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LG그룹(코스피 003550, 대표이사 구광모)이 LG CNS를 중복 상장하면서 지주사인 ㈜LG의 주가가 하락해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LG그룹 최대주주가 구광모 회장을 포함한 총수일가임에도, 이들이 지주사의 주가 하락을 감수하면서도 중복 상장을 용인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LG그룹 총수일가는 왜 이러한 결정을 내렸을까? 본지는 지주사 주가 하락이 오히려 이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구조를 분석해본다. 주가하락을 기뻐하는 총수일가? LG그룹의 주요 주주 지분율을 살펴보면 구광모 15.95%, 구본식 4.48%, 구본능 3.05%, 구연경 2.92%, 김영식(구본무 아내) 4.2% 등 총수 일가가 전체 41.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주주는 기업 가치 상승을 선호하지만, 이들은 주가 하락을 용인하면서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주가 하락이 오히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슈보도팀 | LG CNS 공모상장 전, 반드시 알아야할 ‘이것‘ Must-Watch for LG CNS IPO #lg #엘지 #lgcns #공모주청약 #공모주투자 #공모주일정 #주식 #국내주식 #구광모 영상편집 : 윤태준 인턴기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LG CNS(코스피 064400, 대표이사 현신균)가 오는 2월 5일 상장한다. 청약경쟁률 123대 1을 기록하며 희망 공모가액 최상단인 6만1,900원으로 확정된 가운데,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대감 속에서도 LG 투자자들에게는 손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본지는 LG그룹의 잇따른 자회사 상장과 2대 주주 맥쿼리 PE의 엑시트 논란을 중심으로 이번 상장의 의미를 짚어본다. LG CNS, 디지털 인프라 구축의 핵심 기업 LG CNS는 LG그룹 계열사들의 전자시스템(SI, SM, ITO 사업)을 구축하는 핵심 기업이다.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디지털 인프라 구축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LG CNS 역시 수혜를 입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투자자들은 LG CNS가 비상장이었기 때문에 LG(코스피 003550, 대표이사 구광모)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이 기업의 가치를 포함해왔다. 문제는 이번 LG CNS의 상장이 기존 LG 주주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LG그룹의 지배구조와 ‘알짜기업’ 분리 상장 LG그룹의 지배구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