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귀촌·귀어 지원자 늘어


[데일리연합 남성현 기자]어촌의 고령화와 인구감소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귀어·귀촌 지원 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귀어·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 등이 어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2015년 귀어·귀촌 창업자금(융자) 지원대상자 139명을 선정했다고 9일 전했다. 지난해 106명에 비해 31.1% 늘어난 수치이다.

이러한 증가세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와 도시생활의 어려움 등으로 젊은 층이 새로운 활력을 찾고자 하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귀어·귀촌 창업자금 지원자 현황은 사업별로는 어선어업이 77명(55.4%)으로 가장 많았으며, 양식어업이 43명(30.9%), 수산물가공 및 유통 14명(10.1%), 수산종묘사업 3명(2.2%), 어촌관광·레저 2명(1.4%) 순으로 선정됐다.

연령별로는 40대가 50명(36.0%)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이하가 45명(32.4%), 50대가 37명(26.6%), 60대 이상이 7명(5.0%)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가 119명(85.6%) 여자가 20명(14.4%)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65명(46.8%)으로 가장 많았으며, 충남 32명(23.0%), 경남 20명(14.4%), 경북 10명(7.2%), 제주 4명(2.9%), 강원 3명(2.2%), 전북 2명(1.4%), 경기 2명(1.4%), 울산 1명(0.7%)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선정된 귀어·귀촌인에게는 1인당 최대 2억4000만원을 지원할 것이고, 지원자금은 어업 등의 창업에 사용할 수 있으며, 어업 등에 종사하지 않고 어촌으로 이주해 살고자 하는 사람도 주택구입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해수부는 귀어·귀촌인의 안정적인 어촌정착을 위해 올해부터 융자 금리를 3%에서 2%로 인하하고, 지원자금의 용도를 어선·양식 어업에서 수산물가공·유통, 어촌관광·해양수산레저 산업으로 확대한 바 있다.

양근석 소득복지과장은 "귀어·귀촌인의 안정적인 어촌정착을 위해 어업 등의 경영과 주택구입에 필요한 정책자금 지원확대와 더불어 맞춤형 컨설팅 및 교육지원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해수부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총 410명에 대해 귀어·귀촌 창업자금을 지원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시흥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재난 대응역량 및 협업체계 강화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시흥시는 지난 10월 29일 재난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현장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범국가적 훈련인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정왕체육공원 일원에서 진행했다. 이번 훈련은 시흥시 전역에 대설경보가 발효된 상황을 가정해 정왕체육공원 일원에서 구조물 붕괴 및 교통마비 등 복합재난 상황을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하며 진행됐다. 훈련에는 시흥시를 비롯해 시흥소방서, 시흥경찰서, 육군 2506부대 2대대, 한국전력,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대한적십자사, 의용소방대 등 13개 관계기관 및 민간기업ㆍ단체 250여 명이 참여해 재난 대응의 민관 협력체계를 점검했다. 특히 이번 훈련은 토론훈련과 현장훈련을 실시간으로 연계한 통합훈련 방식으로 진행돼, 실제 재난상황에 준하는 대응 환경을 조성했다. 시흥시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는 기관별 대응 매뉴얼을 기반으로 한 토론 훈련이 진행됐으며, 동시에 정왕체육공원에서는 현장 구조 및 구호 활동이 병행됐다. 또한, 훈련 전 과정에서 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적극 활용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상황 전파 및 대응 체계를 강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