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나랏빚 1200조 넘어


[데일리연합 남성현 기자]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 충당부채가 늘면서 중앙 정부의 재무제표상 부채가 지난해 기준으로 1211조2000원을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93조3000억원 늘어난 수치다. 중앙과 지방 정부의 빚을 합친 국가채무는 530조5000억원으로 1년 새 40조7000억원 늘었다.

정부는 7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2014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의결했다. 이 보고서는 감사원 검사를 거쳐 5월말까지 국회에 제출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발생주의(채권 채무 등이 실제 발생하는 시점에 거래로 인식하는 방식) 체계상 공무원원연금 충당부채는 지난 회계연도에 39조4000억원, 군인연금 충당부채는 7조9000억원 늘었다. 2013년 596조3000억원이던 전체 연금충당부채는 지난해 643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연금 충당부채는 현재 연금 수급자와 재직자에게 장기에 걸쳐 지급해야 할 연금액을 추정한 뒤 현재 가치로 환산해 부채로 인식한 것이다. 지난해 연금충당부채가 늘어난 이유는 재직자와 연금 수급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재직자 수는 2013년 125만4000명에서 지난해 126만3000명으로 늘었고 연금 수급자 수는 이 기간에 45만명에서 48만2000명으로 증가했다.

노형욱 기획재정부 재정업무관리관(차관보)은 “연금 충당부채가 47조원 이상 늘었는데 장래의 위험 요인을 최대한 축소하기 위해 여야가 공무원 연금을 개혁하려고 논의하고 있다”며 “연금을 개혁하려는 취지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공무원연금이 은퇴 공무원에게 줄 돈이 부족하면 정부가 메워준다. 이렇게 메워주는 돈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14조1314억원, 2018년부터 2022년까지 31조4742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공무원연금개혁 특별위원회는 다음달 2일까지 활동 시한을 연기하고 이달 임시국회에서 연금개혁안을 통과시킬 계획이다. 국가 재무제표 상 자산은 1754조5000억원으로 1년 새 88조2000억원 증가했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543조3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5조1000억원 감소했다. 

현금주의(현금이 실제 수입과 지출로 발생할 때 거래로 인식하는 회계 방식)로 작성하는 국가채무는 중앙정부 503조원, 지방정부 27조4000억원 등 총 530조5000억원이다. 지난해 추계인구(5042만명)로 나눈 1인당 국가채무는 1052만원으로 전년(960만9000원) 대비 약 91만원 늘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2013년 34.3%에서 지난해 35.7%로 늘었다.

노 차관보는 “국가채무의 약 47%는 부채와 자산을 함께 가지고 있는 금융성 채무”라며 “이를 사람 수로 나누면 과다 계상되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총수입(356조4000억원)에서 총지출(347조9000억원)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8조5000억원의 흑자를 보였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기금, 사학연금, 고용보험기금, 산업재해보상 및 예방기금 등 사회보장성 기금수지(38조원)을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29조5000억원 적자였다.

정희갑 기재부 회계결산과장은 “통상 국제적으로 재정을 비교할 때는 통합재정수지를 사용하지만 우리나라는 사회보장성기금 수지가 흑자 상황이어서 관리재정수지 개념을 별도로 고안한 것”이라며 “관리재정수지가 적자인 것은 경기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재정을 운용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시흥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재난 대응역량 및 협업체계 강화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시흥시는 지난 10월 29일 재난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현장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범국가적 훈련인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정왕체육공원 일원에서 진행했다. 이번 훈련은 시흥시 전역에 대설경보가 발효된 상황을 가정해 정왕체육공원 일원에서 구조물 붕괴 및 교통마비 등 복합재난 상황을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하며 진행됐다. 훈련에는 시흥시를 비롯해 시흥소방서, 시흥경찰서, 육군 2506부대 2대대, 한국전력,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대한적십자사, 의용소방대 등 13개 관계기관 및 민간기업ㆍ단체 250여 명이 참여해 재난 대응의 민관 협력체계를 점검했다. 특히 이번 훈련은 토론훈련과 현장훈련을 실시간으로 연계한 통합훈련 방식으로 진행돼, 실제 재난상황에 준하는 대응 환경을 조성했다. 시흥시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는 기관별 대응 매뉴얼을 기반으로 한 토론 훈련이 진행됐으며, 동시에 정왕체육공원에서는 현장 구조 및 구호 활동이 병행됐다. 또한, 훈련 전 과정에서 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적극 활용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상황 전파 및 대응 체계를 강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