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최악의 청년실업, 하지만 중소기업 구인난은 여전


[데일리연합 이소현 기자]지난 2월 기준 청년실업률은 11.1%로 외환위기 이후 15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청년은 일자리가 없고, 중소기업은 사람이 없는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중소기업에 취업을 한 직장인들 역시 회사에 오래 머무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포털 알바몬이 최근 10인 이상 중소·중견기업 29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들 기업의 직원 평균 근속기간은 2.4년에 불과했다. 대기업 근속연수인 9.7년(CEO스코어 조사 결과)의 25%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임금 수준 차이는 중소기업 구인난의 가장 큰 원인이다.

지난 2월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시간당 임금이 가장 높은 근로자는 대기업 정규직(시간당 2만1568원)이었고, 뒤를 이어 대기업 비정규직(1만4257원), 중소기업 정규직(1만2828원), 중소기업 비정규직(8779원)의 순이었다. 중소기업 정규직보다 대기업 비정규직의 임금이 더 높은 셈이다.

한 중소기업 대표는 3일 뉴시스와 가진 전화통화에서 "쓸만한 사람을 채용하기도 쉽지 않고, 채용한다고 해도 대부분 4년 이내에 다른 곳으로 옮겨간다"며 "연봉 등에서 대기업과 차이가 있으니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고 하소연했다.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는 한 직원은 "대기업에서 일하는 것보다 업무강도가 심하면 심했지 덜하지는 않다"며 "연봉높고 복지가 괜찮은 대기업에서 일하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임금 수준 외에도 직원 복지, 근무환경, 안정성 등이 중소기업 취업을 피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취업을 준비하는 한 여대생은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달리 임신이나 출산 등을 하게 될 경우 마음 편하게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을 쓰기 쉽지 않다"며 "구직기간이 좀 길어진다고 해도 대기업이나 규모가 큰 중견기업에 들어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임금격차를 좁히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대기업의 단가 후려치기, 무분별한 중기 적합업종 진출 등이 강하게 규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중소기업들도 직원복지 강화 등 인재채용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며 "중소기업이 전체 근로자의 88%를 고용하고 있는만큼 중소기업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유성구, 민선8기 성과 기반 ‘지속가능 미래도시’ 밑그림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대전 유성구가 민선 8기 주요 공약과 핵심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준비에 속도를 낸다. 또한, 창업·돌봄·마을·문화 등 4대 혁신을 중심으로 모든 행정 분야에서 변화와 혁신을 강화하고, 구민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성장 기반 마련에 주력한다. 유성구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 동안 구청 대회의실에서 ‘2026년 주요업무계획 보고회’를 열고 부서별 주요 정책 방향과 추진 전략을 점검한다. 이번 보고회는 단순 업무 계획 공유를 넘어, 구정 전반의 혁신 전략을 재정비하고 실질적 성과 창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어궁동 혁신창업생태계 성장 지원과 브랜드화 ▲골목형 상점가 확대 ▲청년 지원센터 운영 ▲유성온천문화체험관 건립 등 지역 경제·문화 활성화를 위한 사업이 눈길을 끈다. 복지 분야에서도 변화가 두드러진다. 유성구는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맞춤형 지원체계 강화를 목표로 ▲One-care 유성형 통합돌봄 ▲영유아 스마트 돌봄 서비스 확대 ▲장기 요양기관 등급제 도입 등을 추진한다. 기후 위기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