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75세 이상 노인들 영향, 노인진료비 증가



[데일리연합 윤병주 기자]지난해 건강보험 노인진료비가 전년에 비해 1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75세 이상 후기노인들의 의료기관 이용이 늘어난 것이 진료비 상승을 견인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14년 노인진료비 증가 분석' 결과를 1일 발표했다. 분석 내용을 보면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601만명, 진료비는 19조3551억원으로 전년 대비 10.4% 증가했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구성비는 11.9%에 해당하나 진료비 점유율은 35.5%로 재정 지출이 더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2010년에 대비해 후기노인 진료비 점유율은 27.1%에서 33.5%로 6.4퍼센트 포인트(%p) 증가했고 전기노인과 예비노인은 각각 38.5%에서 33.7%, 34.4%에서 32.8%로 4.8%p, 1.6%p 감소했다. 후기노인은 환자 수, 1인당 진료비, 일당진료비 증가 수준이 각각 42.4%, 19.3%, 15%로 예비·전기노인에 비해 높았다.

심평원은 노인진료비 증가 현상을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65세 이상 노인인구를 통계연령 기준으로 전기노인(65~74세)과 후기노인(75세 이상)으로 구분했다. 향후 노인인구에 편입되는 예비노인(55~64세) 계층도 관심 대상에 포함해 함께 분석했다. 분석 결과 지난해 진료비 규모를 예비·전기·후기노인으로 구분한 점유율은 각각 32.8%, 33.7%, 33.5%로 비슷한 규모였다.

노인진료비 증가를 후기노인들이 견인했고 그만큼 고령의 노인인구가 증가한데 따른 현상으로 분석했다. 뇌혈관, 치매 같은 노인성 질환 관련 입원환자 수는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치매 질환으로 입원한 경우 2010년에 비해 예비노인 46.1%, 전기노인 29.7%, 후기노인은 86.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입원진료비는 후기노인에서 노인성 질환인 뇌혈관, 치매, 파킨슨 질환 비용 규모가 클뿐 아니라 증가율 수준도 각각 74.6%, 138.4%, 204.5%로 매우 높았다.

1인당 진료비는 예비노인보다 전기노인 1.6배, 후기노인이 2.5배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향후 예비노인이 노인인구로 편입되면 노인진료비 규모 증가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시흥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재난 대응역량 및 협업체계 강화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시흥시는 지난 10월 29일 재난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현장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범국가적 훈련인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정왕체육공원 일원에서 진행했다. 이번 훈련은 시흥시 전역에 대설경보가 발효된 상황을 가정해 정왕체육공원 일원에서 구조물 붕괴 및 교통마비 등 복합재난 상황을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하며 진행됐다. 훈련에는 시흥시를 비롯해 시흥소방서, 시흥경찰서, 육군 2506부대 2대대, 한국전력,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대한적십자사, 의용소방대 등 13개 관계기관 및 민간기업ㆍ단체 250여 명이 참여해 재난 대응의 민관 협력체계를 점검했다. 특히 이번 훈련은 토론훈련과 현장훈련을 실시간으로 연계한 통합훈련 방식으로 진행돼, 실제 재난상황에 준하는 대응 환경을 조성했다. 시흥시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는 기관별 대응 매뉴얼을 기반으로 한 토론 훈련이 진행됐으며, 동시에 정왕체육공원에서는 현장 구조 및 구호 활동이 병행됐다. 또한, 훈련 전 과정에서 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적극 활용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상황 전파 및 대응 체계를 강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