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치킨 한 마리에 2만원, 눈앞에


 

[데일리연합 이소현 기자]대표적인 '국민 간식' 치킨이 한 마리에 2만원인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다. 최근 주요 프랜차이즈 업체의 신제품을 중심으로 2만원에 바짝 다가선 1만8천∼1만9천원 대 치킨이 등장하고 있다. 

교촌치킨의 경우 지난해 8월 가맹점 운영비용 상승을 이유로 일부 제품 가격을 1천원씩 올리면서 레드스틱·레드콤보·허니콤보 등이 1만8천원이 됐다. BHC에서는 배달매장 기준 순살 제품이 1만9천원대다. '순살뿌링클 핫' 1만9천900원, '순살파닭'·'순살 떡강정' 각 1만9천500원, '순살뿌링클'·'순살치킨강정' 1만9천원 등이다. 네네치킨은 가맹점에 따라 가격이 다소 차이가 있으나 순살 제품 중 네네마늘치킨·쇼킹핫양념치킨·스노윙치킨·오리엔탈 파닭 등이 1만9천원이다. BBQ가 작년 월드컵 때 선보인 '몬스터치킨 콤보'(2만3천원), 네네치킨의 '양파닭 순살'(2만원) 등 치킨 한 마리에 감자나 양파튀김 등이 추가로 든 제품은 이미 2만원을 찍었다.

외식업계에 따르면 BBQ가 이달 초 출시한 봄 계절메뉴인 '베리링' 치킨은 한 마리에 1만9천900원이다. 지금까지 BBQ에서 나온 치킨 가운데 한 마리 기준으로 가장 고가다. 올해 초 내놓은 '치즐링'과 '허니갈릭스'도 한 마리 가격이 각각 1만9천원, 1만8천900원으로 2만원에 육박한다.

치킨 업체들은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등을 가격 인상 요인으로 내세우면서 기존 치킨 메뉴 가격을 올리거나 신제품 가격을 처음부터 높게 잡고 있다. 지난해 교촌치킨뿐 아니라 KFC도 오리지널 치킨, 핫크리스피 치킨, 징거 버거 등 일부 제품 가격을 평균 1.4% 올렸다. KFC의 치킨류 가격 인상은 3년 만이었다. 닭강정 프랜차이즈 가마로강정도 올해 1월 닭강정 '대'를 1만1천원에서 1만2천원으로, '중'을 6천원에서 7천원으로 각각 인상했다. 기본 메뉴인 후라이드 치킨은 아직 한 마리 1만5천∼1만6천원 선이지만, 갖가지 양념을 곁들여 고급화한 치킨과 순살 치킨을 중심으로 2만원을 넘보고 있는 중이다.

이처럼 치킨 가격이 꾸준히 오르는 점을 고려하면 머지않아 한 마리 2만 원대 치킨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하지만 작년부터 닭고기 값이 하락세여서 당분간은 가격 인상 명분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집계 기준으로 지난해 닭고기 도계 중품 1㎏의 연평균 소매가격은 5천613원으로 2009년 이후 가장 낮다. 올해 들어서도 3월(1∼27일) 평균 닭고기 소매가격은 5천502원으로 작년 3월(6천15원)보다 8.5% 떨어졌다.

지난해 월드컵과 아시안게임 특수 등을 기대하고 농가들이 경쟁적으로 사육 두수를 늘려 닭고기 공급이 늘었다. 그러나 조류인플루엔자(AI), 월드컵 흥행 저조, 불황으로 인한 소비 침체 등으로 수요가 공급에 못 미쳤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오는 4∼6월에도 닭고기 공급이 늘지만 뚜렷한 수요 증가 요인이 없어 육계(肉鷄) 산지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또 불가피하게 치킨 가격을 올리더라도 '최후의 보루'인 2만원은 소비자들의 심리적 저항선이어서 쉽게 넘지 못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 치킨업계 관계자는 "지금도 치킨이 비싸다는 인식이 강한데다, 한마리에 2만원이라는 가격은 상징성이 커 본격적으로 2만원대로 진입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유성구, 민선8기 성과 기반 ‘지속가능 미래도시’ 밑그림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대전 유성구가 민선 8기 주요 공약과 핵심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준비에 속도를 낸다. 또한, 창업·돌봄·마을·문화 등 4대 혁신을 중심으로 모든 행정 분야에서 변화와 혁신을 강화하고, 구민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성장 기반 마련에 주력한다. 유성구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 동안 구청 대회의실에서 ‘2026년 주요업무계획 보고회’를 열고 부서별 주요 정책 방향과 추진 전략을 점검한다. 이번 보고회는 단순 업무 계획 공유를 넘어, 구정 전반의 혁신 전략을 재정비하고 실질적 성과 창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어궁동 혁신창업생태계 성장 지원과 브랜드화 ▲골목형 상점가 확대 ▲청년 지원센터 운영 ▲유성온천문화체험관 건립 등 지역 경제·문화 활성화를 위한 사업이 눈길을 끈다. 복지 분야에서도 변화가 두드러진다. 유성구는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맞춤형 지원체계 강화를 목표로 ▲One-care 유성형 통합돌봄 ▲영유아 스마트 돌봄 서비스 확대 ▲장기 요양기관 등급제 도입 등을 추진한다. 기후 위기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