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한미,해병대 연합 해상기동훈련


[데일리연합 김준호 기자]한미 해군과 해병대가 27일 연합 해상기동훈련에 돌입했다. 이번 훈련은 내달 1일까지 진행되며 오는 30일에는 경북 포항시 인근 해상과 독석리 해안 일대에서 '결정적 행동'으로 불리는 상륙훈련이 실시된다. 독수리훈련(FE) 일환으로 마련된 이번 훈련에는 한미 해군 4천100여명, 해병대 3천500여명 등 7천600여명의 병력이 참가했다.

우리 해군의 독도함(1만4천500t급), 상륙함(2천600t급), 이지스구축함(7천600t급), 초계함(1천t급), 잠수함(1천200t급)과 미국 해군의 상륙강습함 본험리차드함(4만1천t급), 상륙수송함 그린베이함(2만5천t급), 상륙선거함 애쉴랜드함(1만5천t급) 등 함정 30여척이 동원됐다. 또 한미 양국군의 항공기 80여대, 상륙돌격장갑차 40여대가 참가해 연합 상륙훈련 절차를 숙달한다고 해군은 설명했다. 이들 전력은 적 해상위협 상황을 가정한 해상기동과 상륙 해안의 위협 요소를 사전 제거하기 위한 해상침투 및 해안정찰, 상륙 목표지역 내의 적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대규모 함포 및 항공 화력지원 등의 훈련을 진행한다.

특히 한미 양국 해군·해병대의 상호 운용능력 향상을 위해 미측 해병대 오스프리(MV-22) 헬기의 독도함 이·착륙 훈련도 실시한다. 한국 해병대 장병들은 오스프리 헬기에 탑승해 목표지역에 상륙하는 공중돌격훈련에도 참여한다. "상륙군 탑재 장비를 민간 동원선박인 자동차운반선(Car Carry)에 탑재해 이를 해상에서 바지선으로 옮기고, 다시 도하지원선(카 페리)에 탑재해 상륙 해안으로 이송하는 해상환적 훈련을 처음으로 실시한다"고 해군은 전했다.

오는 30일 실시되는 상륙훈련의 최대 하이라이트인 '결정적 행동'에서는 상륙함, 수송기, 헬기, 상륙돌격장갑차, 공기부양정에 탑승한 양국 해병대 상륙군이 해군 함정의 함포 사격과 육·공군, 미군 항공전력의 지원사격을 받으며 상륙 목표해안 전방과 후방에 동시에 상륙한다. 이후 후속상륙, 해상 탐색 및 구조훈련, 상륙군 공중 긴급보급, 긴급환자 및 대량 전·사상자 후송 및 철수 등의 훈련으로 이어진다.

해군은 "양국 해군과 해병대는 이번 훈련을 통해 실전적 연합 상륙작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미 연준, 예상 밖 '비둘기파' 전환 시사... 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16일(현지시간) 새벽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예상치 못한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 기조 변화를 시사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의사록은 최근 발표된 고용 및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포함하며, 일부 위원들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조기에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밝혀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그동안 유지되어 온 '고금리 장기화' 기조에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번 발표는 시장의 예상과 달리 강력한 금리 인하 기대감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국 국채 금리는 즉각적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달러화 가치도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나타냈다. 주식 시장에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상승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잠재적 경기 둔화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연준의 이러한 스탠스 변화는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신호와 맞물려 더욱 큰 파장을 예고한다. 유럽과 아시아 등 주요 경제권에서도 경기 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