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독극물 연쇄살인 사건 피의자 검찰 송치

데일리연합 윤준식기자] 독극물 연쇄살인 사건의 피의자 노모(44)씨가 검찰에 송치될 예정이다.

6일 경기지방경찰청 제2청 광역수사대(수사대장 이재원)는 독극물을 음료수에 타 먹이는 수법으로 첫 남편과 재혼한 남편을 살해하고 시어머니까지 죽인 뒤 거액의 보험금을 타낸 노(44)씨를 살인과 존속살해, 살인미수 등의 혐의로 검찰에 송치한다고 전했다.

노씨는 지난 2011년 5월 2일께 별거중인 남편 김모(사망당시 45세)씨의 경기도 포천의 집으로 찾아가 음료수에 맹독성 제초제인 그라목손을 섞어 냉장고에 넣어 먹게 해 숨지게 한 혐의다.

아울러 2012년 3월 재혼한 이모(사망 당시 43세)씨에게도 제초제를 음식물에 몰래 타 먹여 2013년 8월 16일께 숨지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 조사결과 노씨는 이씨가 숨지기 전인 같은해 1월19일 ‘자신을 무시한다’는 이유로 시어머니인 홍모(사망당시 79세)씨에게도 박카스병에 같은 성분의 독극물을 타 먹여 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경찰은 숨진 김씨는 유족들의 증언을 토대로 자살로 처리하고, 이씨, 홍씨 등은 병원에서 병사로 처리해 인지를 할 수 없었다.

노씨는 이런 식으로 두 남편을 숨지게 한 뒤 6개의 보험사로부터 각각 4억5000만원과 5억3000만원의 사망보험금을 수령해 골드바를 구입하고, 백화점 쇼핑 등으로 호화생활을 즐긴 것으로 드러났다.

노씨는 이 같은 범행 뒤에도 최근 첫 남편 사이에서 낳은 자신의 친딸(20)에게도 지난해 3번에 걸쳐 제초제를 넣은 음식물을 먹여 입원치료를 받게 해 보험금 700만원을 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 조사 결과 두 남편 모두 결혼 전부터 여러 곳의 보험사에 가입해 한달에 200만~300만원 가량의 보험료를 납부해왔고, 남편들이 사망하자 노씨는 보험수익자인 미성년자 자녀 등을 대리해 10억원 가량의 보험금을 수령했다.

노씨는 경찰에서 "재혼한 이씨는 보험금을 타낼 목적으로 살해했으나 첫남편은 이혼 후 계속 돈을 달라고 요구해 살해했고, 시어머니는 자신뿐 아니라 나의 아이까지 싫어해 죽였다"고 밝혔다.

경찰은 검찰에 사건을 송치한 뒤에도 노씨의 여죄를 캐는 한편 공범 여부 등을 보강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가속화 위한 윤리적 문제 해결책 모색 중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AI 기술 발전과 함께,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해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AI 시스템의 편향성, 프라이버시 침해, 일자리 감소 등의 우려가 제기되면서, 기술 발전과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 알고리즘의 투명성 확보와 편향성 제거를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많은 AI 시스템은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데, 이 데이터 자체에 편향성이 존재할 경우 AI는 차별적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과정에서 편향성을 최소화하고, 알고리즘의 의사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AI 기술의 오용 방지를 위한 규제 마련 또한 시급한 과제이다. AI를 악용하여 개인 정보를 침해하거나,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는 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AI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이를 준수하지 않는 행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