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첨가물 없는 팝콘은 건강·다이어트 간식


 

데일리연합 이수연기자] 뱃살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팝콘이 있다. 바로 다이어트용 팝콘으로 이는 아무런 첨가물을 넣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옥수수 낱알을 튀긴 것이다. 미국의 건강 포털 쉐어케어가 '팝콘의 진실과 오해'에 대해 소개했다.

압력 용기에 옥수수 낱알을 넣고 밀폐한 후 가열하면 용기 속의 압력이 높아진다. 이 때 옥수수는 급격히 팽창하면서 터져 부풀어 오른다. 이것을 '팝콘'이라 하며 튀긴 그대로 먹거나 기호에 따라 버터, 소금등을 넣어 먹기도 한다.

팝콘이 뱃살을 빼는데 도움이 되는 이유는 '통곡물'이기 때문이다. 통곡물은 쌀이나 밀 등 정제된 곡물에 비해 몸에 좋고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지금도 세계 각국의 수많은 비만 전문의들이 다이어트 음식으로 통곡물을 추천하고 있다.

팝콘은 100% 가공하지 않은 통곡밀로 만들어진다. 팝콘 한 봉지면 일일 통곡밀 섭취량의 70% 이상을 충족시킬 수 있다. 팝콘의 수분 함량이 평균 4%에 불과한 것도 장점이다. 수분 함량이 90%인 상당수 과일과 채소보다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이 매우 높게 농축돼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은 맛을 내기 위해 팝콘에 첨가물을 많이 넣고 있다. 버터에 짭짤한 맛을 위해 소금까지 뿌리면 고혈압이나 심장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버터 100g에는 나트륨 하루 적정 섭취량(2g)의 약 36.25%인 725mg의 나트륨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건강을 위해서 맛은 다소 밋밋하더라고 자연 그대로의 팝콘을 먹는 것이 좋다.

팝콘은 옥수수를 부풀린 것이기 때문에 몸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들어 있다. 혈액 속에서 중성지방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고 피가 부드럽게 흐르도록 해주는 성분이다. 동맥경화 예방이나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데 도움이 되는 이유다. 다만 불포화지방산은 칼로리가 높으므로 적당한 양을 섭취해야 한다.

또한 팝콘은 비타민 E도 풍부해 몸에 나쁜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막을 보호하는 항산화제 역할을 한다. 섬유질도 많아 장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해 정장작용과 함께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된다. 우유와 함께 섭취하면 팝콘에 부족한 비타민 A를 비롯해 비타민 B1, B2, 판토텐산, 나이아신을 보충할 수 있어 건강 간식으로 좋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