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치고 빠지기' 이통사 마케팅에 황당한 소비자

주요 이동통신사들의 이른바 '치고 빠지기'식 마케팅 때문에 소비자들의 황당함이 커지고 있다.

13일 SK텔레콤은 가족 관계의 2~5인 함께 가입하면 단말기 교체나 유료 콘텐츠 구매에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가족 1인당 월 3500원어치씩 적립해주던 ‘T가족 포인트’를 폐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업체는 “오는 16일부터 T가족 포인트 신규 가입 신청을 받지 않고, 그동안 적립된 포인트는 3년 뒤까지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에스케이텔레콤은 T가족 포인트 프로그램을 지난해 11월 기존 가입자의 이탈을 막으면서 가족 마케팅을 통한 신규 가입자 유치 확대 목적으로 도입해, 4개월 만에 폐지하게 됐다. 업체 관계자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법(단말기유통법)으로 금지된 단말기 우회 지원금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있어 폐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엘지유플러스(LGU+)도 같은 이유로 ‘가족 무한사랑 클럽’을 통해 제공하는 포인트를 줄이고, 용도를 단말기 가격 할인에서 요금 할인으로 변경했다.

이에 소비자들이 황당해하고 있다. 한 소비자는 “지난해 11월이면 단말기유통법이 시행된 다음인데, 이제 와서 단말기유통법을 핑계로 폐지하는 게 말이 되느냐. 정말로 우회 지원금 오해 때문이라면 폐지할 게 아니라 포인트 용도를 변경하는 게 옳다. 이통사들이 소비자들의 생각은 아랑곳하지 않은 채 마케팅 필요에 따라 만들었다 없앴다를 반복한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시민단체 쪽에서는 “최근 새정치민주연합 문병호 의원 등이 해마다 사용되지 않고 소멸되는 포인트가 5000억원어치를 넘는다며, 소멸 시점에서 자동으로 그만큼 요금이 감면되거나 사전에 지정한 복지시설에 기부되도록 하자는 제안을 내놓자, 포인트 줄이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앞서 이통사들은 중고 단말기 값 선보상제를 두고도 ‘치고 빠지기’를 해 소비자들의 비난을 샀다. LG유플러스가 ‘제로(0)클럽’이란 이름으로 내놔 선풍을 일으키자 케이티(KT)와 에스케이텔레콤도 앞다퉈 내놨다가 슬그머니 없애, 지금은 엘지유플러스만이 보상 가격을 낮춘 상태로 운용하고 있다.

한편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통신사들 때문에 황당하다", "소비자를 우선으로 생각해 주시길..", "마케팅도 적당히..." 등의 반응을 나타냈다.

남성현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