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삼성전자, 세계 최초 무선충전 기능 내장 스마트폰 선보인다

삼성전자가 자사 제품인 ‘갤럭시S6’와 ‘갤럭시S엣지'로 세계 최초 무선충전 기능 내장 스마트폰을 선보일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이 내용을 오는 3월1일(현지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삼성 언팩’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12일 삼성전자 등에 따르면 갤럭시S6와 갤럭시S엣지는 무선충전기능을 내장했다.

무선충전을 휴대폰 안에 구현한 것은 세계 최초며 지금까지 무선충전을 위해서는 스마트폰에 무선충전용 케이스를 부착해야 했다. LG전자가 지난 2012년 출시한 ‘옵티머스LTE2’<사진>도 무선충전을 기본 제공했지만 이는 무선충전케이스를 주는 형태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신제품은 무선충전케이스가 없어도 무선충전이 된다”라며 “무선충전이 활성화 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무선충전은 수신부(Rx) 모듈과 송신부(Tx) 모듈이 있어야 가능하다.

그동안 수신부는 별도 케이스에 송신부는 충전기에 설치했다.

무선충전을 하려면 스마트폰과 별개로 2개의 액세서리를 구매해야 했다. 대중화되기엔 추가비용이 만만치 않았다. 삼성전자도 ‘갤럭시S3’ 때부터 무선충전을 지원했지만 이 문제로 별다른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S6와 갤럭시S엣지에 무선충전을 넣은 것은 일체형 배터리 디자인을 보완하기 위한 성격이다. 갤럭시S6와 갤럭시S엣지는 테두리는 금속 전후면은 강화유리로 마감한 글래스바디(glass body) 디자인을 채용했다. 배터리는 교체할 수 없다. 삼성전자는 교체형 배터리를 유니바디 디자인 경쟁사 제품 대비 강점으로 소구해왔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는 이번에는 교체는 할 수 없지만 케이블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을 내세울 것으로 전해졌다.

무선충전방식은 자기유도방식이다. 충전기와 제품이 접촉해야 충전이 된다. 자기유도방식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가 만든 표준이다. WPC의 ‘치(Qi)’ 인증 기기는 호환성이 있다. 삼성전자가 내놓은 무선충전기가 아니어도 치 인증 제품이면 갤럭시S6와 갤럭시S엣지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충전기는 송신부만 넣으면 간단히 만들 수 있어 액세서리 업체에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이다. 충전기 형태가 아니라 테이블 등 다양한 후방 시장 창출이 기대된다.

한편 삼성전자는 두 제품을 오는 3월말부터 본격적으로 판매할 계획이다.

남성현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퀀텀마인드, 차세대 멀티모달 AI '뉴럴링크 5' 공개...인간 수준 추론 능력 '주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AI 선도 기업 퀀텀마인드가 오늘(11월 1일) 오전, 차세대 멀티모달 AI 모델 '뉴럴링크 5'를 공식 발표하며 전 세계 기술 커뮤니티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뉴럴링크 5는 기존 AI 모델의 한계를 뛰어넘어,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인간 수준에 근접한 복합적인 추론 능력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뉴럴링크 5는 특히 단순한 데이터 결합을 넘어, 서로 다른 모달리티 간의 미묘한 관계와 맥락을 파악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퀀텀마인드 측은 데모를 통해 복잡한 시각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세한 상황 설명을 생성하고, 음성 명령만으로 복합적인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며, 심지어 특정 상황에 대한 감정적 뉘앙스까지 이해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이는 산업 자동화, 의료 진단, 교육 콘텐츠 개발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을 시사한다. 뉴럴링크 5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사회 전반에 걸친 생산성 향상과 새로운 서비스 창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