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늦잠', 질환 위험성 높여 건강을 해칠 가능성 有


늦잠을 자는 것이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의료연구위원회는 “평일과 주말의 수면 패턴 변화는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의학 학술지 ‘국제 비만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을 통해 발표했다.

이들은 연구를 위해 38세 남녀 800명의 건강 상태와 수면 습관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수면 패턴에 변화가 올 때 겪는 피로감인 ‘사회적 시차증(social jet lag)’의 위험성에 집중했다. 평일과 주말의 수면 패턴 변화는 사회적 시차증의 원인이 된다.

연구팀은 잠을 잔 시간의 중간 시각인 ‘수면 중간 시점’을 수면 패턴의 기준으로 잡았다.

연구 결과, 평일과 주말의 수면 중간 시점에 두 시간 이상의 차이가 나면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인 당뇨·뇌졸중·심장마비·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구팀은 “수면 패턴의 변화가 DNA를 혼란에 빠뜨려 지방과 당을 적절치 않은 시간에 활성화시킬 수 있다”고 가능성을 제시했다. 더불어 “늦잠을 자면 식사 습관과 운동 습관이 흐트러지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전했다.

마이클 파슨스 연구원은 “여행에서 겪는 시차증보다 사회적 시차증을 더 빈번하게 겪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고 말했다.


이수연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